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 여러 도로현장에서 송이(화산쇄설물)는 빈번하게 접하는 토목재료이다. 송이는 일반적으로 파쇄성이 크고, 입자가 큰 재료로 알려져 있을 뿐, 이 화산쇄설물에 대한 연구가 미미하여 이 송이에 대한 처리방법에 많은 어려운 점이 따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각 지역에서 채취한 송이의 기본적인 강도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로 구한 송이의 강도특성 값은 추후 도로, 옹벽, 사면 등의 각종 설계 시 기본적인 자료로써 적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4,200원
        2.
        200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 여러 도로현장에서 송이(화산쇄설물)는 빈번하게 접하는 토목재료이다. 송이는 일반적으로 파쇄성이 크고, 입자가 큰 재료로 알려져 있을 뿐, 이 화산쇄설물에 대한 연구가 미미하여 이 송이에 대한 처리방법에 많은 어려운 점이 따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각 지역에서 채취한 송이의 기본적인 강도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로 구한 송이의 강도특성 값은 추후 도로, 옹벽, 사면 등의 각종 설계 시 기본적인 자료로써 적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4,200원
        3.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액재배에서 제주송이가 다른 배지와 비교하여 방울토마토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과 양액성분 변화를 조사하여 제주송이를 양액재배용 고형배지로 실용화하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엽비, 건과비, 당산비는 1익㉣ 1회 1시간 담액후에 완전 배액한 구에서 높았다. 2. 방울토마토 생과중은 상위 화방으로 갈수록 암면구와 담액수경구는 작아졌으나, 송이구와 일향토구, 펄라이트구 등 고형배지경에서 무거웠다. 3. 방울토마토의 생육이 왕성한 시기에 양액성분중 다량원소를 분석한 결과는 송이 재배구에서 인산과 칼륨 농도가 낮았다. 4. 방울토마토의 수량과 당도는 암면과 일향토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5. 일반적으로 양액재배에서는 수분의 증발과 식물의 수분 흡수 증산작용으로 비료염의 농도가 높아가는데 송이구도 다른 고형배지경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6. 제주 송이 양액재배용 고형배지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가벼운 자재로 가공개발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본다.
        4,000원
        4.
        199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a scoria, which is abundantly found in Cheju island, as adsorbent and the scoria was examined for its performance in clarification of adsorption of heavy metal ions. The order in heavy metal ions adsorbed on scoria was; Pb^+>Cd^2+>Cu^2+>Ag^+>Co^2+>Zn^2+>Cr^3+>Cr^6+. This tendency was relatively consistent with the decreasing order of radius of hydrated metal ion. Also, the smaller scoria size and the larger amounts of scoria showed higher removal efficiency for heavy metal ions. The same scoria size showed more effective removal efficiency for heavy metal ions at lower initial concentration than at higher initial concentration. The adsorption abilities of original scoria and chemically treated scoria were compared. Adsorption isotherm of scoria was generally obeyed to Freundlich formula than Langmuir formula and Freundlich constant, 1/n was obtained in the range of 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