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학습자의 개별 정답 문항에서 얻어지는 단편적인 정보들로부터 평가에 관련되는 지식 전체에 대한 정보를 추론할 수 있는 지식공간론을 활용하여 고등학생의 천문학적 공간개념에 대한 위계와 개별 학생의 지식상태를 분석하였다. 천문학적 공간개념을 구성하는 요인의 위계는 '공간위치≪공간추리≪공간변화'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식공간론을 활용한 평가 자료의 분석은 기존의 평가 방법으로는 알 수 없었던 평가 문항과 문항 간의 관계와 학생 개개인의 지식상태를 알 수 있게 함으로서 학습자의 수준별 개별화 학습과 교육과정 선정에서 많은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4,000원
        2.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세계는 지금 정보화사회를 넘어 지식사회(Knowledge Society)에 돌입하였다. 즉, 지식이 가장 강력한 경쟁력의 원천이 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는 디자인에 있어서도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으며, 지식경영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실무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자인 분야에 지식경영을 도입하여 디자인적 맥락에서 지식경영에 대한 이론적 체계를 재구축하고, 디자인을 통한 지식창출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에 지식경영을 도입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디자인에 적합한 지식경영의 이론적 프레임웍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로서 지식경영과 지식경영시스템에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고, 디자인에 적합한 지식경영 도입 방안과 이론적 프레임웍을 제시하였다 또한 지식경영시스템을 크게 디자인 인프라, 지식정보시스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지식역량으로 구성하였으며, 지식경영시스템의 기술적 특성을 정보기술측면에서 분석하였다.
        4,200원
        3.
        2013.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물리적 지식활동 중 던지기 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력과 공간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S시에 소대한 두 개의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40명이며 12주 동안 24회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유아의 문제해결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Tegano, Sawyer와 Moran(1989)의 유아 문제해결력 검사에 기초하여 안경숙(1992)이 사용하고 장경혜(1994)가 수정, 보완한 검사도구를 사용하고 유아의 공간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홍혜경(2001)의 공간능력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물리적 지식활동 중 던지기 활동은 문제해결력의 하위요소인 문제의 발견 및 진술, 문제 해결에 대한 결론짓기와 공간능력의 하위요소인 눈-운동 협응, 공간적 추리, 시각적 기억 및 회상하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물리적 지식활동 중 던지기 활동은 유아의 문제해결력과 공간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4.
        2010.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지식의 기초에 관한 요구를 살펴보고, 이러한 전문성 발달과 지식의 기초에 관한 요구가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전문성 발달 정도와 지식의 기초에 관한 요구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 교육청 관내 소재 공립유치원에 재직 중인 원감, 교사 461명으로 전문성 발달은 보통 이상으로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지식의 기초에 관한 요구는 보통 이상으로 경력에 따라 전체요구에서는 차이가 없으며, 하위영역인 교육 및 사회현상에 대한 이해, 유아교육 현장에 대한 이해, 연구능력에서 차이가 있다. 전문성 발달과 지식의 기초에 관한 요구 간에는 경력을 통제 한 후 살펴본 결과 보통의 정적 상관이 있으며, 연구능력에서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