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워드 스나이더의 5중적 교회 갱신론에 비춰 본 평양 대부흥운동
오늘날 이구동성으로 한국 기독교의 위기를 말한다. 종교별 사회
적 신뢰도에서 최하위를 면치 못하면서 동시에 양적으로는 마이너스
성장을 지속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 어느 때보다도 갱신과
부흥이 한국 교회에 절실히 요청된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 가운데
필자는 평양 대부흥운동을 하워드 스나이더(Howard Snyder)의 이론
과 연계해 고찰함으로써 교회 갱신에 관한 선순환 패턴과 목회적 통찰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대전제, 설명, 비교의 순서로
전개된다. 먼저 갱신과 부흥의 대전제로서 하나님의 주권적 역할과
은혜가 소개될 것이다. 다음으로 스나이더의 5중적 교회갱신론이 설명될 것이다. 그에 따르면 참된 갱신은 개인적(personal), 회중적
(corporate), 개념적(conceptual), 구조적(structural), 선교적
(missiological) 차원을 함께 아우른다. 마지막으로 평양 대부흥운동과
스나이더의 이론과의 상관성이 서로 비교되어 논의될 것이다.
본고의 연구 결과, 평양 대부흥운동은 스나이더가 제시한 5중적
차원과 밀접한 상관성을 보인다. 우선 하디 선교사와 길선주 장로를
위시한 개인적 갱신이 선도적으로 일어났고 뒤이어 장대현교회를 중심
으로 회중적 갱신이 광범위하게 발생했다. 또한 새벽기도, 철야기도와
같은 개념적 갱신과 사경회(査經會)와 같은 구조적 갱신이 대부흥을
촉발시키면서 동시에 심화시켜 나갔다. 끝으로 상기한 개인적, 회중적,
개념적, 구조적 갱신은 날연보(日捐補)와 100만인 구령운동으로 대표
되는 선교적 갱신으로 승화되었다. 오늘날 한국 교회는 제2의 평양
대부흥운동이 발화하기를 희구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갱신과 부흥의
주체되시는 하나님의 은혜를 전적으로 사모해야 한다. 특히 교회 지도
자들부터 회개를 통한 개인적 갱신을 철저히 추구해야 한다. 그들은
또한 회중적 갱신에 기여할 개념적, 구조적 갱신에 진력하면서 종국에
는 모든 교회적 활동을 선교적 갱신으로 수렴시켜야 한다. 이와 같은
5중적 차원의 갱신이 일어날 때 한국 교회는 초창기의 영적 능력과
사회적 영향력을 다시금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Der Ursprung des islamischen Mystizismus geht auf den Begriff ‘Sufi’ zurueck, der mit dem Schafwolle bekleidet und asketisches Leben fuehrt. Als ein Sufi gefragt wurde, was der Sufi sei, antwortete er, ein Sufi sei ein Mensch, der nichts hat, aber von nimandem in Besizt genommen wird. Im Hintergrund des islamischen Mystizismus liegt die Entwicklung des Islams nach dem Tode von Muhammad insbesondere durche den Eroberungskrieg von Umaiya Hally(661-750). Die Machthaber des Islams wurden reicher und politisch unterdrueckerisch. Dagegen gab es immer wieder eine Gegenbewegung, die die Umkehr und die Ehrfurcht vor Gott aufforderte und dem Leben von Muhammad als ein ideales Leben nachfolgen wollte. Die radikale Trennung von der Welt, der asketische und einfache Lebensstil und die Einsiedlung waren ihre Merkmale. Karen Amstrong und Annemarie Schimmen, die besten Wissenschaftlerinnen des Islams, teilen die Entwicklung des islamischen Mystizismus in zwei Kategorien auf, bzw. der Asketik und der Liebe. In dieser Arbeit habe ich versucht, in diese zwei mystischen Bewegungen einzufuehren, um den islamischen Mystizismus am Beispiel von einigen typischen Mistikern zu verstehen. Erstaunlich ist, dass der islamische Mystizismus im 13. Jahrhundert in einer engen Beziehung zu dem christlichen Mystizimus steht. Die beiden zu vergleichen, bleibt als naechstes Forschungsthema. Heute interessiert sich sehr viele Leute ueber die Spiritualitaet. Spiritualitaet hat die Bedeutung im Lateinischen Sinne, ‘atmen’. Und wir stellen gleich fest, dass die Spiritualitaet mit dem Leben zu tun hat. Im Greek hat der Mystizismus seinen Ursprung in ‘mysterion’ und ‘mystikos’, die mit ‘myein’, also ‘schliessen’ zu tun haben. Wenn man die Spiritualitaet vom Mystizismus unterscheiden will, bedeutet die Spiritualitaet einen Weg von unten zu Gott. Aber die Mystik den Weg von oben nach unten, bzw. von Gott zu Menschen. Die Menschen von heute suchen die Ganzheit(Einheit zwischen Koerper und Seele), Praxis(Einheit zwischen Wort und Tun), Altaeglichkeit(Einheit zwischen heiligen und sekularen) und Geschichtlichkeit(Einheit zwischen Geschichte und Transzendenz) der Spiritualitaet. Und ich gehe davon aus, dass der islamische Mystizismus uns dazu befaehigt, uns mit der geistigen Herausforderung der kapitalistischen Gesellschaft auseinanderzusetzen.
본 논문은 1980년대부터 전개되었던 미국 제1차 대각성 운동에 대한 수정주의 논쟁을 간단히 정리하고, 특히 김상근, 류대영, 그리고 이만형의 수정주의 입장에 대한 종합적 이해, 그들의 연구의 문제점, 그리고 본 논문의 결과들이 주는 시사점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의 2장은 선택된 학자들을 중심으로 미국 1차 대각성 운동에 대한 수정주의 입장과 그에 대한 반응이 무엇이었는지 정리하고자 한다. 3장에서는 김상 근, 류대영, 그리고 이만형의 연구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미국 제1차 대 각성 수정주의 입장이 그들의 연구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그리고 왜 그러한 연구를 시도하였는지 연구한다. 나아가 그들의 연구에는 문제가 없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4장에서는 2장과 3장에서 도출된 결과들을 중심으 로 본 논문이 평양대부흥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논하고자 한다. 끝으로 지금까지 논의를 정리하고, 그에 대한 필자의 생각을 밝히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