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시와 베이징시의 두 도시의 공원 관리체계의 현황, 유형, 관리조직, 이용객, 예산, 문화활동 분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고, 양국 비교분석 하였다.두 도시의 공원 관리체계의 기본기능과 내용은 대체적으로 동일하나, 그러나 구체적인 방면에서 차이가 많다. 공원녹지통계, 오락공원시설, 이용객 및 구성원의 신분 통계, 수입관리방식, 관리조직과 기능, 이용객을 끌어들이는 방식 및 관련있는 법규의 내용등 방면에서 나타난다.공원관리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차이의 주요원인은 국가의 문화, 행정체제가 다른데 있으며, 목표에 도달하기 위하여 두도시 모두 많은 방면에서 노력을 하고 있으며, 시설의 재정비, 공원문화의 혁신 등을 통하여 이용객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다.두 도시의 도시녹화, 공원시설, 이용객 활동, 구성원과 원림수입/지출방면의 통계자료로 두 도시의 특징과 차이를 보이고,도시공원의 문화활동, 입장료 판매방식, 수입/지출관리 방식을 비교하여 최종에 두 도시의 공원관리방식에 관련 있는 법규내용의차이가 나타났다..공원관리사업에서도 공통적으로 공원조성, 수목 및 화훼, 시설물 보수 및 정비, 환경위생, 공원 서비스, 유람 서비스등서비스가 포함되기 때문에 관리내용이 비교적 업무량도 많으나. 그러나 베이징시의 경우 공원 구성원들은 반드시 계획대로고효율적으로 공원관리를 진행하여 공원관리의 목적에 도달해야 하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다.그러나 비교할 수 있는 자료는 문화와 행정체계가 다르고 연구 자료도부족하기 때문에 내용도 한계가 있다고 보며, 중국의녹지 정책, 넓게는 중국의 환경개선 및 보호 정책에 대한 정보가 매우 부족한 상태이므로 정책과 실상을 알아보는 것이가장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