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21년 제정된 国际中文教育中文水平等级标准(이하 等级标准)은 등급별·기능 중 심의 문법 교육 체계를 제시하고 있으나, 한국인 학습자의 실제 오류 양상과 문법 항목 기술 방식 간에는 상당한 불일치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 의 오류 분석을 바탕으로 等级标准(初等)의 문법 항목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하 고, 교육적 적용 가능성을 재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판적 적용(critical appl ication)’ 접근법을 채택하여 2000년 이후 국내 문법 오류 관련 선행연구 50편을 분석 하고, 鄧守信(2009)의 ‘기능–구조–용법’ 삼차원 분석 틀을 적용하였다. 오류 빈도가 높은 把자문, 부사류(都, 就, 还), 개사류(在, 向, 对 등)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等 级标准(初等)의 문법 항목 기술 방식과 한국인 학습자의 실제 언어 사용 양상 간에 는 구조적·용법적 측면에서 현저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형식 중심의 간략한 예문 제 시는 학습자의 실제 언어적 문제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였다. 본 연구 는 한국인 학습자의 오류 양상을 반영한 비판적 적용 사례를 제시하고 구체적 보완 방향을 모색하였다. 향후 한국인을 위한 표준 중국어교육 요목 설계 및 교육과정 설 계, 평가 등 실질적으로 중국어교육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6,100원
        2.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等级标准』의 중국어 교육문법 요목인 『等级标准(语法)』의 중국어 교육 문법 요목의 체계를 살펴보기 위해 『语法等级大纲(1996)』및 『国际大纲(语法)(2014)』을 HSK과의 연계성, 문법범주 및 문법항목, 등급체계 및 등급 배열을 기준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HSK1.0단계는 중국어 요목 기준, 문법 요목과 연계된 평가요목은 별도로 제정되지 않았고, 등급도 일치하지 않는다. HSK2.0단계는 교육 문법 요목과 연계된 HSK요목은 별도로 제정되었고, 6등급으로 일치시켰다. HSK3.0단계의 『等级标准(语法)』에서는 교육 문법 요목과 HSK요목을 3등 9급 체계로 동일하게 일치시켰다. 『等级标准(语法)』의 등급체계 변화는 국내 중국어교육에도 영향이 있다. 특히 큰 HSK 급수 변화에 따른 학습자의 혼란이 야기되고, 중국어 교육과정, 강의, 시험 및 평가 등에도 변화에 따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等级标准(语法)』의 교육문법 체계는 HSK1.0단계의 『语法等级大纲(1996)』과 거의 일치함으로 형태론 및 통사론 중심의 문법항목 중심으로 중국어의 특징이 충분히 반영되었다. 『等级标准(语法)』을 한국인 학습자를 중국어교육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적절성, 효율성, 통용성에 대해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셋째, 『语法等级大纲(1996)』, 『国际大纲(语法)(2014)』, 『等级标准(语法)』의 모두 전반적 상대적 등급 배열, 누적식 등급 배열은 전반적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等级标准(语法)』을 한국인 학습자 중국어교육에 적용하기 위해서 3등 9급으로 변화된 체계에 적절한 문법항목의 선정, 난이도 고려, 등급 배열 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HSK도 3등 9급으로 시행되기 시작한 현시점에서 『等级标准(语法)』을 한국인 중국어교육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수준별 문법항목 선정, 내용, 기술 방법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6,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