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 방탄재에 탄환이 고속 충돌 시, 탄환과 방탄재 사이에 복잡한 비선형 변형과 열적-기계적 상호작용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방 탄 성능을 결정하는 주요 물성을 평가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금속 방탄재의 기계적 물성에 대해 분산분석을 수행하여 방탄성능에 대한 영향성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LS-Dyna 상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금속재료에 대한 탄도 충격 현상 유한요소 모델을 구현하였으며, NATO 회원국 간의 표준화 협정 규격에 따른 파편모의탄을 사용하였다. STANAG 4569를 기준으로 비관통 조 건에서는 630m/s, 관통조건에서는 960m/s 속도로 충돌해석 수행하였고, 각각에 대한 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Armox500T의 기본 물 성을 중심점으로 설정한 중심합성계획법을 이용하여 실험점을 배치하였으며, 완전2차 표면모델을 통해 방호 성능을 결정 짓는 금속 재료의 주요 기계적 물성에 대한 영향성을 평가하고, 물성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였다.
Advertisement signboards on the buildings have functionally a visual value as factor of urban and building design. But it is not easy to find any reasonable principles and regulations, how well the signboards deliver the information of stores to the customers, and how they contribute the visual amenity from the sight of urban landscape. Under this context,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information delivery power of signboards in relation to the visual cognition. The analysis method is the Two-Way ANOVA (Analysis of Variance) evaluation with factors, such as scale, amount and arrangement of signboards. The scale of letters or figures at Signboards is specified in 3 different sizes such as big, medium and small. The amount is classified into 5 grades from 100% to 20% installation. And the arrangement is divided into orderly and disorderly installation. As the results of the Two-Way ANOVA, the identical scale of signboards is much better for the awareness. And the orderly arrangement shows also the same result. Above all, including these two results, the 80% of installation showed the biggest different result of awar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