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gital media play an undeniably influential role in contemporary communication, facilitating new kinds of multimodal forms of representation. However, ELT pedagogy does not always take these multimodal aspects of communication into account in a systematic way. One pedagogical approach that has been developed for this purpose is ‘multimodal composing’ or ‘digital multimodal composing’. This approach caters to the needs of English language learners in the digital age by engaging with multimodal forms of communication in digital media which are ‘embedded’ alongside the reading and writing tasks that make up the core of traditional approaches to ELT. In this article, I provide an overview of scholarly work that has been done in developing this approach. Drawing on a case study of English language learners in Hong Kong, I demonstrate what the approach looks like in practice and suggest how it might be implemented in other contexts, balancing multimodal forms of communication with the traditional demands of the English language curriculum.
본고는 식당 종업원 호칭에 대한 선행연구의 조사자료 및 그들 간의 의미를 재고한 뒤, 그 것을 토대로, 한 중 교재 속에 반영된 일반 식당 상황 하의 호칭어 사용 양상을 양적인 측면 에서 고찰하고 교육적 함의를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는 우선 선행연구의 설문 결과 중에서 “여/저기요”와 “帥哥/美女”를 중심으로 시간에 따른 사용 변화 양상을 메타적 관점에서 관찰한다. 관찰에는 시대 흐름별 차이와 더불어 격식 유무별 차이 등이 포함된다. 그 로부터 얻은 결과를 기초로, 한 중 교재 속 식당 장면에서 사용되는 호칭들이 선행연구에서 보여준 사용 결과와 부합하는지 그리고 그 점에서 한 중 교재 간에는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 이 있는지를 양적 측면에서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