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swflow is defined as short term discharge through groundwater caused by rainfall events. Impacts of baseflow is significant on water quality especially where pervious agricultural watershed as groundwater is more vulnerable to the contamination. In this study, the Cheongmicheon watershed was subjected to study to assess the impacts of baseflow on surface water quality, where more than 90% of pollutant load is originated from the livestock raising area, and very high probability of surface water contamination due to the baseflow. To estimate nutrient loading cased by baseflow, NI (Numerical Integration) model and LOADEST (LOADing ESTimation) model were used.
        4,200원
        2.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1985년부터 2015년까지 지속기간에 따른 청미천 유역의 가뭄을 분석하였다.가뭄의 정량적 평가를 위해 기상학적 가뭄지수와 수문학적 가뭄지수를 사용하였다. 기상학적 가뭄지수로는 강수량을 변수로 하는 SPI(Standarized Precipitation Index)와 강수량과 증발산량을 변수로 하는 SPEI(Standar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를 사용하였다. SWAT 모형의 모의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농업학적 가뭄지수 인 PDSI(Palmer Drought Severity Index)와 수문학적 가뭄지수인 SDI(Streamflow Drought Index)를 적용하였다. 산정 결과, 극한 및 평균 가뭄의 평균에서 2015년과 2014년이 가장 가뭄에 취약함이 확인되었다. 빈도분석에 따른 가뭄의 변동성은 서로 다른 형태를 보였다. 또한 상관분석에서 극 한 가뭄 및 평균 가뭄은 PDSI를 제외한 SPI, SPEI, SDI 가뭄지수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하지만 각 가뭄지수는 서로 다른 극한가뭄의 시기 및 강도를 보였다. 따라서 가뭄분석시 다양한 특성을 지닌 가뭄지수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3.
        200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of the Sumjin River Basin. The Chooryeongchon stream watershed was selected and the parameters representing water quality were investigated from May 1999 to September 2002, periodically. Yearly mean runoff ratio to the rainfall amount of the watershed was analysed as 26.6~58.8%. Tempor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constituents such as water temperature, pH, EC, total nitrogen, total phosphorus were analysed. The result showed that pH ranged 5.7~7.7, EC 54~167 μS/cm, COD 0.8~18.1 mg/L, respectively. Total-N and total-P concentration ranged from 0.89 to 5.19 mg/L and from 0.0004 to 0.030 mg/L,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s between runoff and mass load were derived and showed high linear relationships.
        4.
        200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우유출시 발생되는 질소는 그 발생특성과 천이기작의 비정상성과 공간적 불균일성이 극심하다. 분산형 질소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 GRASS-AGNPS 호환모형을 사용해서 비점오염 현상을 모의했다. 오염물의 거동에 대한 지형의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 수치표고도를 구축하였다. 대상유역은 경북 청도군 청도읍의 한재천 유역으로 선정되었다. 모형 보정을 위한 수질자료는 강우시 유역내 15개 지점으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실험실에서 분석하였다. 모형 보정방법은 시행착
        5.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s for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in Boryung fresh water reservoir watershed. Four agricultural reservoirs were selected and the water qualify of the reservoirs were investigated from November 1998 to December 2000, periodically. Including storage rate, tempor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constituents such as water temperature, pH, EC, total nitrogen, total phosphorus were analysed. The result showed that pH ranged 6.7~10.4, EC 56.1~1079μS/cm, COD 0.75~8.0mg/L, respectively. And, total-N concentration affected by the livestock wastes and agricultural activity ranged from 0.21 to 4.66mg/L and which was almost over the agricultural water quality standard(1.0mg/L). Total-P ranged from 0.001 to 0.080mg/L as lower than the agricultural water quality standard(0.1mg/L).
        6.
        200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 소하천의 수리학적 및 수질특성을 반영한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구조 설계시 제어체적 기법을 활용하여 하천 형상, 수질 및 유량의 변화가 심한 농촌 유역의 소하천에 대한 수질의 모의하였다. 개발한 모형에 난수발생기법을 도입하여 최적 반응계수와 모형구조를 추정하였다. 또한 모형 보정기준의 일반화를 위해 동의지표와 효율계수를 도입하여 매개변수추정의 신뢰성 향상을 도모했다.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경남 김해시 한림면 용덕천에서 수질을 채취하여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