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 flexible flatfoot is characterized by a flattening of the foot arch due to excessive bodyweight. The use of shoe insoles or taping methods has been identified as effective in realigning the navicular or calcaneus bones and addressing supination in pronated feet. Object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arch taping attachment method, introduced in a previous study, and a novel taping metho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to the inner aspect of the heel bone in cases of flexible flatfoot. Methods: A navicular drop test was performed to discriminate flexible flatfoot.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ressure distribution during walking for each taping method, the subjects underwent testing in the barefoot state with no attachments. The procedure included a sequence of arch taping and heel taping. Subsequent analysis of pressure distribution during walking utilized the GaitRite® system (GAITRite Gold, CIR Systems Inc.). Results: Arch taping and calcaneus taping significantly reduced the integrated pressure over time and peak pressure on the medial side of the midfoot for both feet compared to the barefoot state.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upporting the inside of the heel through calcaneus taping, without direct stimulation to the longitudinal arch and navicular bone,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flexible flatfoot.
        4,000원
        2.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발목 병변을 관찰하는 단순 방사선촬영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에서 Ankle Broden법은 발꿈치뼈(Calcaneus)및 발목뼈(Ankle Joint)의 결합상태와 발목뼈의 발꿈치뼈 골절(Calcaneus Fracture), Subtentaculum Tali Frature를 관찰하기 위하여 촬영을 한다. 이 촬영법은 전·후면과 측면뿐 아니라, 사면 상(oblique view)이나 축 상(axial view)의 촬영을 하며 잦은 부상이 발생하는 목말뼈· 발꿈치뼈간, 발꿈치뼈·발배뼈간 결합상을 보기 위해 주로 촬영을 한다. 본 연구는 석고처치 환자들은 발목관절이 영상에 잘 묘출되기가 어렵기 때문에 발목뼈 사이의 관계 및 연부조직의 구조적 변화와 Subtalar joint, Calcaneus Fracture, Subtentaculum Tali Frature에 따른 목말뼈·발꿈치뼈의 골 결합 (talocalcaneal coalition)을 관찰하기 위한 Harris-Beath View(30°∼55°) 촬영 시 평가에 유용한 발목뼈의 결합상을얻을 수 있는 각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40명의 환자에게서 획득한 영상을 평가하였으며, 평가결과 25°의 촬영상은 목말밑 관절(subtalar joint)이 열려져 분리되지 않았고 또한, Subtentaculum Tali Frature에 중복되어보였다. 30°의 촬영상은 발꿈치뼈 골절(Calcaneus Fracture), Subtentaculum Tali Frature, 목말밑관절(subtalar joint)과 후방 관절면의 앞부분이 가장 잘 나타나고 Calcaneo Navicularcoalition, Talocal Canealcoalition, NaviculoCuneiform coalition의 결합상태가 명확하게 보였다. 35°의 촬영상은 목말밑관절(subtalar joimt), 목말뼈(talus), 발뒤꿈치뼈의 뒤쪽관절면이 명확하고 발목발꿈치관절(talocalcaneal joint)의 분리정도가 좋고 발목뼈굴(sinus tarsi)이 넓게 나타나며 좋은 평가가 되었다. 45°영역에서는 연부조직과 석고 분리를 판별할 수 있었고 가쪽복사와 뼈 밀도가 명확하게 보였다. 35°에 비해 발꿈치뼈(Calcaneus)이 분리되었지만 영상이 왜곡되어 보였다. Calcaneus, SubtentaculumTali Frature는 25°에서 1.20±0.414, 30°에서는 2.47±0.516, 35°에서는 2.87±0.352, 45°에서는 2.27±0.458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왜곡의 정도를 포함시키면 30°영역의 왜곡이 적게 나타났고, 40°영역은 심한 왜곡현상을 보였다. 따라서 Ankle(Broden)촬영에서 30∼35°상이 가장 좋은 영상이었으며, 30∼40°상에서는 Calcaneus Fracture, Subtentaculum Tali Frature의 진단에 가장 좋은 영상을 묘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