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국을 중심으로 일상화되는 경제적 강압이 동아시아 지역 질서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연구가 중국 이 경제적 강압을 책략(statecraft)으로 삼는 의도와 궁극적으로 추구하 는 목적, 그리고 정책 결정 매커니즘 분석에 초점을 두었다면, 본 논문은 경제적 강압의 역내 정책전파 (policy diffusion)에 주목하며 동아시아 안보-경제 지역 질서에 미친 영향을 설명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이를 위해, 우선 중국의 경제적 강압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고, 동아시 아 경제 패권국인 중국의 지역정책과 전략을 냉전과 탈냉전 시기를 비교 하여 살펴봄으로써 중국이 동아시아에서 차지하는 구조적 지위의 변화와 지도부의 인식론적 전환을 검토한다. 이러한 경제적 강압 부상의 대내외 적 배경을 살펴본 후에, 본 논문은 동아시아에서 중국을 중심으로 형성 된 비대칭적 경제적 상호의존의 심화와 무기화, 이로 인한 경제 안보에 대한 우려, 그리고 한-일간의 갈등이 보여주는 동맹 내부의 균열로 인해 기존의 미국 중심 안보동맹 질서의 구심력이 약화 되고 있다는 점을 설 명한다. 경제적 지역 질서 측면에서는 제도에 기반한 규범과 자유로운 교역과 기술의 접근을 강조하는 자유주의 경제 질서만으로 설명하기 어 려운 ‘복합적’ 질서의 등장을 설명한다.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RCEP) 과 같은 다자적 경제협력과 통합의 노력은 자유주의 경제 질서의 탄력성 을 보여주지만, 동시에 중국, 일본과 같은 지역 강국들의 지속적인 경제 적 강압 정책 추진과 이로 인한 생산 다변화와 현지화, 공급망 재편, 정 부의 적극적 지원정책과 같은 국가주의적 특성도 강화되고 있다는 점을 설명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중국을 포함 지역 강 국들의 경제적 강압 선택에 대한 비용을 높여 실질적으로 억제할 수 있 는 제도 마련이 시급하다는 점과 동아시아 지역 질서에 주는 함의를 결 론에서 논의하고 마무리한다.
        8,000원
        2.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ugustine has been claimed to be the progenitor of the theory of just war in Christianity. In the medieval age his position was taken advantage of by the Roman Catholic Church to justify the persecution of heresies, the crusades, and other wars. It is true that especially in his controversy with the Donatists, he articulated the reasons and methods of religious coercion. Yet he did not advocate relgious coercion outrightly. Augustine, who valued the universal nature of the Catholic Church, abhorred the provincial character of the Donatist Church. He took notice of escapism in the Donatists' understanding of religious purity. Moreover, Augustine chided them for practicing rebaptism. This rite had been confirmed in North Africa, but not anywhere else. Augustine asserted that though the baptism administered in the Donatist Church was valid, it was not efficacious. So long as they remained separated from the Catholic Church, their baptism did not work remission of sins. Augustine believed that for the maintenance of order and peace, religious coercion can be exercised to schismatics. The Christian order ushered in by the advent of Constantine should be preserved not only in the world but also in the church. Furthermore, Augustine thought that as a means of discipline religious coercion is necessary. Yet, it is not for punishment or persecution per se but for correction and education. He even believed that it is a means of love. Because people who love never do evil, even their coercive measure can be just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