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부의 창조경제는 국민을 창조활동의 주인공으로 자리매김함으로써 기존의 전문가 중심, 과학기술공급중심의 경제사회발전전략과는 다른 특성을 보여주고 있으나 그 해석과 정책 실행에 있어 그 특징을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창조경제가 주목한 국민의 창의성이 과학기술자의 창의성과 무엇이 다르며, 그것이 정책 패러다임으로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광범위한 문헌 연구를 통해 밝힘으로써 창조경제가 담아내야 할 도전과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민은 사용자로서의 창의성에 더불어 인문학적, 철학적, 윤리적, 경험적 능력을 바탕으로 한 생활인/삶의 주체로서의 창의성을 갖고 있으며 이것은 과학기술자의 창의성과는 구분되는 고유의 창의성이라 할 수 있다. 사용자로서의 창의성, 생활인/삶의 주체로서의 창의성의 발현은 삶의 가치에 대한 선택을 내포하며 이는 소비행태의 변화, 삶의 방식의 변화를 통해 기술 고착, 사용자 고착을 타파함으로써 시스템 혁신을 이루거나 새로운 사회ㆍ기술시스템의 구성 혹은 전환을 촉진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국민의 창의성은 기존의 전문가/과학기술공급중심 혁신 패러다임이 아닌 사용자/현장중심 혁신 패러다임’의 토대로서 역할 할 수 있다. 따라서 국민의 창의성에 주목하고 있는 창조경제는 사용자/현장 중심 혁신 패러다임의 실현이라는 새로운 경제사회발전정책과제를 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digital technology has given rise to a new form of cultural industry - digital literacy, and the trend of all-media convergence has also promoted the production and marketing of IP, and the space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literacy under the IP strategy and the market demand are constantly expanding. Due to the problems of insufficient exploitation and utilisation, low technology level, content homogenisation and serious piracy of China's IPs, the feasible paths of building a digital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y chain, all-media marketing, establishing a digital copyright protection system, guiding the orderly competition of IPs, and carrying out international cooperation have been put forward with the combination of theories and practice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IP production, content quality and digitalisation, stimulate the innovation of content and science and technology, protect digital copyrights, and provide a better service for China's high-quality digital copyright production and marketing. Protection of digital copyright, and provide a reference for the creation of high-quality digital cultural and creative IP in Chin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the creative economy sector of rural communities in Trenggalek Regency, East Java, Indonesia by mapping the creative economy sub-sectors in Trenggalek Regency. The creative economy industry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GDP in many developing countries and developed countries. In urban areas, the creative economy is often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y, such that it is unlikely to evolve in rural communities. However, the rural environmental landscape, which not only has a wealth of creative human capital but also a cultural heritage, also encourages the growth of the creative economy sector in rural areas. This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for 60 working days through in-depth interviews, focus group discussions, observation and literature review. More precisely, first, it identified the potential of the creative economy both sectorally and regionally. Second, it identified the leading creative economy subsectors and compiled a creative economic development road map. After defining and mapping the potential of the creative economy, four of the sixteen sub-sectors of the creative economy were identified to be developed through a strategic plan for the growth of the creative economy using urban branding, innovative industrial centers and renewable resources.
오늘날, 비게임 분야에서 게임적인 사고와 요소를 적용하여 사람들의 흥미를 끌거나 재미를제공하는 게이미피케이션 기법이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온라인 멘토링과게이미피케이션을 결합한 창조경제타운의 ‘아이디어 커뮤니티’ 사례를 분석하였다. 아이디어의육성 및 선정을 위해 회원들을 대상으로 공개 모의투자 및 멘토링을 진행하였고, 이 과정에서특정한 활동을 할 때마다 경험치를 획득하여 레벨을 높일 수 있었다. 그리고 회원들은 자신이수행한 활동에 대한 내·외적 보상을 받아 성취감을 느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분야에서 게이미피케이션을 적용하는데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