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study, we proposed a model for forecasting power energy demand by investigating how outside temperature at a given time affected power consumption and. To this end, we analyzed the time series of power consumption in terms of the power spectrum and found the periodicities of one day and one week. With these periodicities, we investigated two time series of temperature and power consumption, and found, for a given hour, an approximate linear relation between temperature and power consumption. We adopted an exponential smoothing model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linearity in forecasting the power demand. In particular, we adjusted the exponential smoothing model by using the variation of power consumption due to temperature change. In this way, the proposed model became a mixture of a time series model and a regression model. We demonstrated that the adjusted model outperformed the exponential smoothing model alone in terms of the mean relative percentage error and the root mean square error in the range of 3%~8% and 4kWh~27kWh,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the energy management system in terms of the effective control of the cross usage of the electric energy together with the outside temperature.
본 연구는 공급자(supplier), 중간공급자(distributor) 그리고 고객(customer)으로 구성된 2 단계 공급사슬에서 퇴화성 제품(deteriorating products)에 대한 중간공급자의 재고모형을 분석하였다. 문제 분석을 위해 공급자는 중간공급자의 수요 증대를 목적으로 중간공급자의 주문 크기에 따라 차별적으로 외상 기간을 허용하고, 최종 고객의 수요는 중간공급자의 재고 수준에 따라 선형적(linearly)으로 증가한다는 가정 하에 모형을 분석하였다. 중간공급자의 이익을 최대화하는 경제적 주문량 결정 방법을 제시하였고, 예제를 통하여 그 해법의 타당성을 보였으며,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퇴화율이 재고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공급자(supplier)가 중간 유통자(wholesaler/retailer)의 수요 증대를 목적으로 중간 유통자의 주문량에 따라 차별적으로 외상 기간을 허용한다는 기본적인 가정 하에 중간 유통자의 재고 모형을 다루었다. 문제 분석을 위하여 최종 고객(customer)의 수요는 중간 유통자의 재고 수준에 따라 선형적(linearly)으로 증가한다는 가정하에 모형을 분석하였고, 모형 분석을 통하여 중간 유통자의 이익을 최대화하는 경제적 주문주기와 경제적 주문량 결정 방법을 제시하고, 예제를 통하여 그 제시된 해법의 타당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공급자(supplier), 소매상(retailer) 그리고 고객(customer)으로 구성된 2 단계 공급사슬에서 소매상의 관점에서 소매상의 최적 재고정책 결정에 관한 문제를 다루었다. 공급자는 수요 증대를 목적으로 소매상의 주문량에 따라 다단계로 일정기간동안 제품 판매대금에 대한 지불 연기(외상)를 허용하고, 고객의 수요는 소매상의 제품 재고량에 영향을 받는다는 가정 하에 재고 모형을 설계하였다. 모형 분석을 통하여 소매상의 이익을 최대화하
본 연구는 공급자(supplier), 중간분배자(retailer/distributor) 그리고 고객(customer)으로 구성된 2 단계 공급사슬을 대상으로 공급자가 수요 증대를 목적으로 중간분배자에게 일정기간 동안 제품대금에 대한 지불 연기를 허용한다는 가정 하에 중간분배자의 최적 재고정책 결정을 위한 재고 모형을 다루었다. 소비성 상품의 경우, 고객의 수요는 일반적으로 상품 진열대에 진열되어있는 상품의 재고량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In today's business transactions, it is more and more common to see that the buyers are allowed some grace period before they settle the account with the supplier. In this regard, we analyze the problem of determining the buyer's EOQ when the supplier allows day-terms credit. For the analysis, it is assumed that the buyer's demand rate is a function of the on -hand inventory level and the relevant mathematical model is develop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