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In this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we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nurses providing end-of-life (EOL) care in an emergency department (ED) setting and identify the associated challenges and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Methods: Twelve nurses with over 1 year of EOL care experience in the ED were interview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as outlined by Braun and Clarke. Results: Five main themes with corresponding subthemes were identified: (1) Inadequate Environment for EOL Care, including physical environment barriers for a dignified death and emotional restraint in a chaotic setting; (2) Impact of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Complexity, encompassing complicated dynamics of family decision-making and compromised care quality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3) Managing Care Relationships in Physician-Limited Settings, manifested as navigating limited physician communication and bearing the emotional weight of EOL care; (4) Challenges in Protecting Patients’ Rights, characterized by powerlessness in the face of silent patients and confusion from reversed decisions by families; and (5) Actualizing Compassionate EOL Care, ensuring dignity through purposeful actions and navigating environmental barriers to dignified care. Conclusion: We highlight the need for systematic changes in the ED to better support EOL care,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culturally sensitive communication protocols, shared guidelines for decision-making, and improved collaboration between healthcare professionals. These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enhancing EOL care in EDs. Future efforts should focus on policy changes, tailored education programs, and support systems that address the multifaceted needs of patients, families, and healthcare providers.
        4,200원
        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폭력경험,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정도를 확인하고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은 D시 소재의 4곳과 C시 소재 2곳의 500병상 이상의 응급실에서 근무 중인 경력 1년 이상의 간호사 14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11월 6일 부터 15일까지이었다. 대상자의 폭력경험은 4점 만점에 평균평점 1.26±1.31점이었고, 자아탄력성은 4점 만점에 2.50±0.55점,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5점 만점에 3.62±0.49점이었다. 폭력경험과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별 상관관계에서 언어적 폭력 경험은 간호업무(r=.194, p=.010), 역할갈등(r=.158, p=.030) 스트레스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신체적 위협 경험은 간호업무(r=.200, p=.008), 역할갈등(r=.162, p=.027), 의사와의 갈등(r=.145, p=.042) 스트레스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별 상관관계에서 간호업무 스트레스는 자아탄력성의 강인함(r=-.189, p=.012), 인내력(r=-.165, p=.025), 낙관성(r=-.186, p=.013) 영역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전문지식 스트레스는 강인함 (r=-.230, p=.003), 인내력(r=-.195, p=.010), 낙관성(r=-.194, p=.010) 영역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간호사 대우 스트레스는 영성(r=.154, p=.033) 영역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폭력경험과 자아탄력성과의 하위영역별 상관관계에서 강인함은 신체적 위협(r=-.150, p=.037) 경험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인내력은 신체적 위협(r=-.138, p=.050) 경험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낙관성은 신체적 폭력(r=-.151, p=.036) 경험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폭력이 발생하지 않는 안전한 근무 환경을 조성하고, 폭력상황 발생 시의 대처방법에 관한 지속적인 교육 및 스트레스 대처방법, 자아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개발 및 중재가 필요하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