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aterial balance evaluation is an important measur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nuclear material is diverted. A prototype code to evaluate material balance has been developed for uranium fuel fabrication facility. However, it is difficult to analyze the code’s functionality and performance because the utilization of real facility data related to material balance evaluation is very limited. It is also restricted to deliberately implement various abnormal situations based on real facility data, such as nuclear diversion condition. In this study, process flow simulator of uranium fuel fabrication facility has been developed to produce various process data required for material balance evaluation. The process flow simulator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Simulink-SimEvents framework of the MathWorks. This framework is suitable for batch-based process modeling like uranium fuel fabrication facility. It dynamically simulates the movement of nuclear material according to the time function and provides process data such as nuclear material amount at inputs, outputs, and inventories required for Material Unaccounted For (MUF) and MUF uncertainty calculation. The process flow simulator code provides these data to the material balance evaluation code. And then the material balance evaluation code calculates MUF and MUF uncertainty to evaluate whether or not nuclear material is diverted. The process flow simulator code can simulate the movement of nuclear material for any abnormal situation which is difficult to implement with real process data. This cod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checking and improving the functionality and performance of the prototype code of material balance evaluation by simulating process data for various operation scenarios.
        3.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군집 응집현상은 수자원환경에서 점착성 유사가 결합-해체의 과정을 통해 응집핵-응집체의 이군집 입자크기분포(Biomodal Floc Size Distribution)를 형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저난류 및 고난류 두 가지 조건에서 수행한 응집-침전관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이군집 응집모형(TCPBE: Two Class Population Balance Equation)의 적용성을 단일군집 응집모형(SCPBE: Single Class Population Balance Equation) 및 다군집 응집모형(MCPBE: Multi Class Population Balance Equation)과 비교·평가하였다. 기존 SCPBE에 비하여, TCPBE는 응집핵-응집체의 상호작용 및 침강속도차에 따른 응집 기작을 모의할 수 있었다. 또한, 3개의 연립미분방정식을 가진 TCPBE는 30개 미분방정식을 가진 다군집 응집모형(MCPBE: Multi Class Population Balance Equation)과 대등한 모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TCPBE는 이군집 응집현상을 모의 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한 모델로 검증되었고, 향후 수자원환경이나 수처리 공정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4.
        200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업용수 회귀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3년 관개기 동안 많은 실측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지역은 경상남도 창녕군에 위치한 대암양수장 유역일원이다. 관개용수를 공급하기위하여 건설된 대암 양수장 유역 내 논에 대하여 물수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지역에서의 일 강우량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또한 관개율, 배수율, 침투 및 증발산을 실측하였다. 관개량과 배수량은 기록형수위계(GTDL-L10)를 설치하여 관계기 동안 지속적으로 관측하였다 침투 및 증발산은 직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