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investigates the vestiges of bear worship in ancient Chinese characters. It analyzes the emergence and significance of characters symbolizing bears, such as “能” (néng) and “熊” (xióng), to elucidate their connection with the tradition of bear worship. “能” is identified as a pictogram representing the bear’s body, and it is argued that the character “羽 /能” (yī) used in the bamboo texts of the Chu state is related to bear birth mythology. Additionally, the study reveals that the ancestral surname “嬴” (Yíng) of the Qin dynasty encapsulates meanings related to the bear. The research explores the potential links between the bear worship totem of the Hongshan culture and the ethnic groups of the Qin and Chu states, supporting the polygenetic theory of the formation of the Chinese nation. It particularly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the Northeast Asian civilizations beyond the monocentric theory centered around the Yellow River or the dualistic theory of the Yangshao-Liangzhu cultures. The study also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cultural connections between Gojoseon’s Dangun mythology, the formation of the Korean ethnic group, and further cultural linkages with Japan. This study comprehensively illuminates the impact of bear worship on the formation of Chinese and Northeast Asian cultures and is expected to lay a crucial theoretical foundation for constructing the methodology of “Chinese character archaeology” that integrates studies of ancient characters with ethnology, archaeology, and philology. Through this, it aims to provide deep insights into how various ethnicities and cultures have interacted to shape Chinese civilization.
세계적으로 알려진 한국의 갓의 기원과 상징성을 찾아보면 고조선까지, 또 상투와 관자는 홍산문화까지 올라갈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Hat의 어원, 갓과 옥 머리빗의 상징성, 갓 부속품의 발달 역사를 살펴보고자 함이 며, 연구방법으로는 문헌고찰, 유물과 벽화, 주변의 발음 변화 사례수집 등을 행하였다. 홍산문화에서 발굴되는 유적 대부분이 한국에서 발견되는 유적과 상당 부분이 일치하고 있다. 변한 사람들은 고깔형태의 삼각형 모자 변 (弁)을 착용하였는데, 이는 상투의 머리형태에 맞춘 것이다. 변의 테두리는 접어져 있는데 이를 아래쪽으로 내리게 되면 갓이 된다. 뾰족한 추 상투는 동북아시아 사람들의 독특한 머리양식이며 한국인의 ‘하늘 자손’ 이라는 민족 정체성을 나타내므로 수천년간 전통이 유지되었다. 새와 구름형의 홍산문화 옥 머리빗은 종교적 특성과 홍산인의 머리양식에 관한 예법 제례에서 사용되었다. 영어 ‘Hat’는 ‘갓’ 발음이 변화한 것이다. ‘ㄱ, ㅎ, ㅋ’의 발음은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데, 고대의 ‘ㄱ’음은 점차 ‘ㅎ, ㅋ’음으로 변천하게 되었다. Hat와 갓은 ‘관, 고깔’의 중고 음인 ‘가사>고사>곳’ 으로부터 변형한 것이다. 홍산문화에서 시작된 독특한 머리양식은 단군 고조선시대에 대중 적으로 유행되었으며, 갓의 착용과 머리양식 요소는 전승되면서 지속적으로 발전하였다. 갓의 제작 방법 및 창의 적인 망건, 동곳, 관자, 머리빗 등 갓 착용을 위한 필수 부속품들의 상호 발전사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