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드라마가 지닌 상호작용성과 극적 서사경험의 충돌이라는 난제의 해결방안을 인터랙티 브 드라마의 스토리생성 모델이 지닌 한계에서 찾고, 이를 게임 스토리텔링 이론의 적용을 통해 보완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마이클 마티아스의 인터랙티브 드라마 <Façde>의 스토리생성 모델을 스토리 환경과 스토리 구조의 차원에서 살펴본다. 다음으로 헨리 젠킨스의 ‘환경적 스토리텔링 이론’의 적용을 통해 스토리 환경의 수정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어 마크 르블랑의 ‘게임 역동성 이론’을 통해 극적 긴장감 창출을 위한 불확실성과 필연성 요소를 제시하고 인터랙티브 드라마 스토리생성 모델의 보완 및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플레이어가 조작하는 캐릭터의 관점이 사용자의 도덕적인 판단에 미치는 영 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Unity3D 게임 엔진을 이용해 Castaway 라는 이름의 인 터랙티브 스토리를 설계하고 개발했다. Castaway의 주요 내용은 1884년 영국에서 실제로 발생했던 R v Dudley and Stephens(일명 미뇨넷호 사건)에 기반하고 있다. Castaway 인터랙티브 스토리에 서, 플레이어는 가해자의 입장과 피해자의 입장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캐릭터의 시점으로 스토 리를 진행할 수 있다. 플레이어의 캐릭터에 대한 공감도가, 캐릭터에 대한 도덕적 판단에 영향을 주 었는지를 알기 위해 우리는 소규모 (n=10) 파일럿 스터디를 설계하고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서 로 다른 캐릭터 시점이 플레이어의 캐릭터 공감도 및 도덕적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했 다. 향후 보다 많은 참가자들을 모집해 주 실험을 진행할 예정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