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ined ethnic ties and affinities have funneled many Koryŏ saram into South Korea—the divided homeland of their ancestors—as coethnic labor migrants and foreign spouses over the past decade.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ten Uzbekistan-born Koryŏ saram women who currently reside in South Korea with their Korean husbands and children, this paper examines intersections of gender and ethnicity in the women’s migratory paths and life experiences in the employment and family spheres. After contextualizing the ensuing influx of Koryŏ saram to South Korea from the perspectives of ethnic (return) migration and marriage migration, this study looks into how the ten informants’ skills are devalorized as coethnic migrants who lack Korean language skills but appear “Korean” to contemporary South Korean people. This research also investigates the ways that the incipient Koryŏ saram community allows them to seek new employment opportunities while juggling between work and family as a married migrant with children. By examining two salient social differentiations in (social) mobility of Koryŏ saram, this paper not only betokens the social position of Koryŏ saram in South Korea, but also underscores the agency of the coethnic migrant women who struggle to pursue inclusion in the affluent homeland.
21세기 한국사회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이주 노동과 함께 주변국 아시아 하층 여성들의 이주로 인해 다문화사회로 변화되었다. 기존 연구들은 주류 대 소수, 동화 대 배제, 국민 대 이방인의 이분법적 틀에서 한국의 관주도 다문화주의 하에서 결혼이주여성들의 삶을 폭 압적 가부장제의 희생양 혹은 지구화로 인한 성의 상품화로 분석하는 등 결혼이주여성들의 부적응과 타자화를 비판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결혼이주여성들은 한국사회의 성원이자 이주민으로서 종족적, 인종적 차이는 물론 다문화가정의 계급, 젠더 및 문화적 차 이로 인한 다면적 관계와 복합적인 정체성의 동학을 드러내 왔다. 본 논문은 기존 연구들 이 전제해 온 이분법적 경계를 넘어 ‘통섭적 관점’(intersectionality studies)에서 다양한 범주들 의 사회적 자본과 주체의 대응의 측면에서 결혼이주여성들의 정체성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 는가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