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rth Korea has repeatedly provoked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and the threat posed by UAVs continues to escalate, as evidenced by recent directives involving the use of waste-laden balloons and the development of suicide drones. North Korea’s small UAVs are difficult to detect due to their low radar cross-section (RCS) values, necessitating the efficient deployment and operation of assets for effective response.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ims to predict the infiltration routes of enemy UAVs by considering their perspective, avoiding key facilities and obstacles, and propose deployment strategies to enable rapid detection and response during provocations. Utilizing the Markov Decision Process (MDP)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research presents a model that reflects both UAV flight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environments. Unlike previous models that designate a single starting point, this study addresses the practical challenge of uncertainty in initial infiltration points by incorporating multiple starting points into the scenarios. By aggregating and integrating the probability maps derived from these variations into a unified map, the model predicts areas with a high likelihood of UAV infiltration over time. Furthermore, based on case studies in the capital region, this research proposes deployment strategies tailored to the specifications of currently known anti-drone integrated systems. These strategies are expected to support military decision-making by enabling the efficient operation of assets in areas with a high probability of UAV infiltration.
최근 동위원소를 이용한 뼈 스캔 (Bone Scan)검사 후 골밀도 (BMD; Bone Mineral Density)검사를 당일검사로 병행한 경우 이로 인한 골밀도 측정값에 오차 발생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방사성의약품 표지화합물 투여 후 이중에너지 X선을 이용한 골밀도 측정값 변화에 대한 임상적 자료가 미비하여 핵의학 체내 검사 후 당일 골다공증 검사의 측정값에 대한 논란의 소지가 있다. 따라서 동위원소 표지화합물인 99mTc-MDP가 골밀도 측정값에 영향을 미치는지 임상적 측면에서 실험하였다. 실험에 참가한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35.17±9.45세로 실험 대상자 17명 중 대사성 질환과 골밀도 측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허리뼈 압박골절 및 몸쪽 넓적다리뼈 골절이 있는 자를 제외한 12명 중 정상 골밀도 T-scores〉-1.0의 환자 6명을 대상으로 99mTc-MDP 투여 전·후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 허리뼈에서 전·후 각각 평균 0.975±0.084 g/cm², 0.966±0.078 g/cm²으로 0.009 g/cm² 증가, 우측 몸쪽 넓적다리뼈에서는 전·후 각각 평균 0.909±0.078 g/cm², 0.913±0.086 g/cm²으로 0.004 g/cm² 감소, 좌측 몸쪽 넓적다리뼈에서는 각각 평균 0.887±0.099 g/cm², 0.881±0.103 g/cm²으로 0.007 g/cm²의 증가를 보여 몸쪽 넓적다리뼈 보다 허리뼈에서 더 큰 골밀도 변화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허리뼈와 몸쪽 넓적다리뼈 전체에서 전·후 변화 평균은 0.0038±0.014 g/cm²으로 골밀도 측정값에 유의한 영향이 없음을 알 수 있으며, 또한 두 실험간 전체 상관계수는 0.987으로 방사성동위원소 표지화합물인 99mTc-MDP 투여가 골밀도 측정값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따라서 140 keV의 감마선 에너지를 방출하는 테크네슘 표지화합물을 이용한 뼈 스캔검사 후 골밀도 측정값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핵의학적 체내검사와 골다공증 검사를 당일로 검사함으로 인한 환자의 피폭을 고려한다면 시간 간격을 두고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