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홈 관련 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그 잠재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에 대한 문헌검토(literature review)를 통해 스마트홈 관련 산업을 제조업과 서비스업으로 분류하고 외생화하였다. 그리고 2018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이들 산업이 유발하는 생산, 부가가치, 고용 및 취업효과와 산업간 연쇄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홈 제조업과 서비스업은 각 산업 영역에서 타 산업에 비해 높은 수준의 부가가치유발효과를 보였으며 스마트홈 산업 내부적으로는 제조업의 서비스업 생산 견인 기능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났 다. 또한 4차 산업혁명기술을 활용하는 산업답게 기술집약적인 산업과의 연관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시티, 스마트카, 핀테크 등을 구현하기 위한 서비스 부문과도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스마트홈 제조업은 후방파급효과가 전방파급효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최종 수요적 산업인 반면 스마트홈 서비스업은 전방파급효과가 후방파급효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중간재 산업으로서 타 산업으로의 공급 기능이 높은 산업임을 알 수 있었다.
        7,000원
        2.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조건으로서 기술창업의 역할에 대해 분석 한다. 기업가의 지식확산이론(Knowledge Spillover Theory of Entrepreneurship)을 기반으로, 국가 내 기술기반 창업의 비중이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데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한다. 또한 국가경제개발 단계 측면에서 혁신주도형경제(Innovation-driven economy)에 해당 되는 경우 국가경쟁력에 미치는 기술창업의 영향력이 어떻게 조절되는지 살펴본다. 2011년 부터 2014년까지 83개 국가의 기술창업, 국가경쟁력지수, 경제개발단계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국가 내 기술창업비율은 국가경쟁력과 U자형 관계를 가진다는 점을 확인 했다. 또한 국가 발전단계 상혁신주도형경제에 해당되는 국가의 경우 이 관계는 강화되는 방향으로 조절되는 점을 확인했다. 이 연구는 기술 기반의 창업 비율이 증가할수록 국가경쟁력에 무조건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상황과 조건이 잘 맞아야 함을 강조한다.
        7,000원
        4.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hortage of trained seafarers is an issue, which many ship-owners are facing and, according to recent studies, the shortfall of both officers and rating will worsen in the next few years. The key role of seafarers is of fundamental importance in international trade, as they are the ones responsible for safely manning and operating ships. In developing countries, they also perform a strategic aspect in terms of contribution to GDP, mainly by earning foreign currency and increasing national consumption of goods and services. Myanmar is still considered a developing country with an economy, which has only recently started growing steady. It is also one of the major seafarers supplying nations and the contribution, which seafarers have on the national GDP may be particularly significant in comparison to other countries.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seafarers’ impact towards the Myanmar national economy. The paper describes the status of Myanmar seafarers, and the seafarers’ current and forecasted impact towards the Myanmar economy through a regression model. The study concludes with recommendations to make Myanmar seafarers more competitive internationally and increase their economic contribution nationally.
        5.
        2016.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ssences, needs and features of formation of national innovative development model of Kazakhstan are proved on the basis of analysis of various research approaches to realization of the modernization that exist in the world economic theory. For studying the problems of innovative development of the country, there was a need for the formulation of a number of definitions, disclosure of their contents, changing the approaches to reform, as well as adjusting their targets. In the article the general scientific research methods used dialectic, abstraction, systemic and situational approach, empirical and theoretical and analytical methods, and logic modeling. The proposed approach to the implementation of innovative development based on the use of evolutionary and institutional approaches to the study of the problems of implementing an effective innovation policy. This approach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forward strategy of modernization, innovative development and higher competitiveness of the national economy. The study proved the causes and features of the implementation of innovative development model in Kazakhstan.
        6.
        199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량과 수질 양면에서의 '물위기'를 극복하 수 있는 공공정책 개발을 위해 두 가지 접근방법으로 수도사업의 국민경제적 역할을 고찰하고자 했다. 먼저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물소비가 급증한 시기인 1978-1994년 동안의 물소비와 경제성장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물의 총수요와 부문별 수요의 가격 및 소득탄력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단기적으로 수자원 문제를 분석할 수 있는 투입-산출(I-O, input-output)모형을 개발하였다. 통상적인 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