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etary tryptophan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skin lesions, and blood parameters in weaned piglets. A total of 144 piglets (Landrace × Yorkshire × Duroc; initial BW: 6.63±0.21 kg)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dietary treatments, with six replicates of eight pigs each for 28 days. The treatments included a control diet (CON), a diet supplemented with 0.10 % tryptophan (T1), and a diet with 0.20% tryptophan (T2). Growth performance was assessed by measuring average daily gain (ADG),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and feed efficiency (G:F). Skin lesions were scored on days 14 and 28, an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the end of each phase for analysis of growth hormone, cortisol, and serotonin levels. Results indicated that tryptophan supplementation improved ADG and G:F compared with the control, particularly in the T2 group. Skin lesion scores were lower in the tryptophan supplemented groups, suggesting reduced aggression. Furthermore, blood serotonin levels tended to increase and cortisol levels showed a decreasing trend in tryptophan-supplemented groups, suggesting potential stress mitig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etary tryptophan supplementation can enhance performance and welfare in weaned piglets under stress.
Ibuprofen (IBU), a common pharmaceutical and personal care product (PPCP), is a pervasive water pollutant with adverse ecological and human health effects after transformation and accumulation.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Fe, N-doped carbon quantum dots (Fe, N-CQDs) using pig blood and FeCl3 as a precursor via a one-step hydrothermal method. TEM, XRD, XPS, and UV–Vis were used to characterize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Fe, N-CQDs. We investigated the feasibility of Fe, N-CQDs in activating peroxymonosulfate (PMS) for IBU degradation under visible light. The experimental results revealed that Fe in Fe, N-CQDs predominantly formed a stable complex through Fe–N and Fe-OH, with a high degree of graphitization and a sp2- hybridized graphitic phase conjugate structure. The Fe, N-CQDs/Light/PMS system exhibited strong activity, degrading over 87% of IBU, maintaining a wide pH range (3–10) adaptability. Notably, Fe, N-CQDs acted as visible-light catalysts, promoting Fe3+/ Fe2+ cycling and PMS activation, generating both free radicals ( SO4 •–, ·OH) and non-radicals (1O2, h+) to effectively degrade IBU. This study presents an innovative approach for the sustainable utilization of pig blood as a biomass precursor to synthesize Fe- and N-doped carbon materials. This study provides a new approach for the sustainable and value-added utilization of natural wastes and biomass precursors of Fe- and N-doped carbon materials, which can be used to treat pollutants in water while treating discarded pig blood.
돼지의 체세포 핵이식(Somatic cell nuclear transfer,SCNT)은 인간에게 약리적 효과가 있는 단백질, 이종 간 장기이식(xenotransplantation)에 사용되는 장기, 질병 연 구 목적의 모델 동물을 제공한다. 특히 형질전환 돼지를 활용한 심장 이식이 세계 최초로 성공한 후 형질전환 돼 지 생산의 안정화는 다음 연구를 위한 중요한 점으로 대 두되고 있으나, 미니돼지의 체세포 핵이식 배아의 생산 효율은 아직 낮은 실정이다. 형질전환의 성공은 양질의 SCNT 배아 생산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이러한 SCNT 배 아의 생산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요인 중에는 공여 세포 의 형태가 있으며, 성공적인 공여 세포의 생산을 위해서 는 종축에 따른 세포의 특성을 파악하여야 하고, 혈액형 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해결을 위해 OO 타입의 선 별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계대 배양을 통 하여 공여 세포로 사용되는 미니돼지의 태아섬유아세포의 계대 배양 조건을 확립하고자 한다. 또한 미니돼지의 혈 액형을 PCR 기반으로 분석하여 분류하고 OO 타입의 선 별을 통하여 이종 간 이식에 용이하게 공여 세포의 조건 을 확립하였다. 이후 sgRNA(single guide RNA)를 사용하 여 CRISPR-Cpf1로 GGTA1(α-1,3 galactosyl-transferase) 유전자를 knock-out 한 미니돼지의 생산으로, 급성면역반 응을 유발하는 Gal(1,3)Gal epitope이 제거된 미니돼지의 세포 주를 구축 및 체세포 핵이식을 통해 GGTA1 knock-out 미니돼지를 생산하였으며, 이러한 연구는 이후 체세포 핵이식 및 이종 간 장기이식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오늘날 양돈의 사양이 증가 함에 따라 부존사료 자원으로서 활용가치가 높은 물질에 항생제를 첨가 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제조된 가축용 사료를 개발하여, 기능성 친환경 돈육 및 가공품을 생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항암, 항염, 항산화 등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복분자(Rubus occidentalis, RO) 부산물을 양돈사료의 원료로 확립하고자 버크셔 돼지를 대상으로 복분자 발효사료(Rubus occidentalis fermented fodder, ROFF)의 혈액 내 영양 운반인자와 항산화 효능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시험구는 일반사료(대조구)에 ROFF를 0.3% 첨가하였고, 발효사료의 효능을 확인 하기 위해 각 체중에 따른 버크셔 거세돈 및 암퇘지에게 43~73일간 급여하여 효능을 확인 하였다. ROFF의 복합적인 효능은 혈액 생화학, 철분 및 항산화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ROFF의 섭취로 인해 거세 자돈 및 육성돈, 암컷 자돈, 육성돈, 및 110-150 kg 암컷 비육돈 에서 total cholesterol (TC), LDL-cholesterol (LDL-C), HDL-cholesterol (HDL-C) 모두 감소하거나 HDL-C이 증가하는 경향으로 보아 영양생리학적으로 개선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암컷 비육돈에서는 생화학적 수치가 모두 증가하는 경향으로 보아 임신 가능성이 있는 비육기의 경우 이러한 수치 향상으로 자돈의 생산을 위한 원활한 영양 공급이 예상되며, 건강한 자돈의 생산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ransferrin (TFE) 함량은 거세돈에서는 변화가 크지 않았으며, 암컷 육성돈 및 110-150 kg 암컷 비육돈에서 ROFF 섭취로 인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남에 따라 ROFF가 철분 결핍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들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Glutathione peroxidase1 (GPx1)분석 결과 거세 비육 돈 및 110-150 kg 암컷 비육돈에서 ROFF의 섭취로 인해 GPx1 활성이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크게 증 가한 것으로 보아 ROFF가 항산화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할 때, ROFF의 급여가 전체적으로 시험 개체의 개선 효능에는 영향이 크지 않으나 RO의 함량을 고려 할 때 매우 긍정적인 원료사료 중 하나라 할 수 있으며, 특히 ROFF가 거세돈 보다는 암컷 버크셔의 영양 운 반 및 철분 함량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