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 중반까지 창야오는 자신의 과거 경험을 배경으로 한 장시(长诗)를 중심 으로 독자적인 시 세계를 구축했다. 그러나 1980년대 중후반 이후 창야오의 내면과 시 쓰기에는 근본적인 변화가 시작되었고, 현실의 거대한 변화는 그가 추구했던 시 적 이상과 창작 지향에 심각한 부조화를 가져왔다. 이로부터 창야오의 시는 삶의 무 의미와 허무에 대한 탐색으로 돌아서게 되고, 시의 서정적 요소가 제한되고 서사적 성분이 강화되었다. ‘행을 나누지 않은 시(不分行诗)’ 또는 ‘산문시’는 창야오 시의 변 화를 보여주는 구체적인 형식이었다. 창야오 후기 시의 ‘산문화’ 경향은 자신의 창작 방식에 대한 불안과 회의(怀疑)에서 기인한 것으로, 전통적인 서사나 서정 방법으로 는 독자를 감동시키기 힘들다고 생각한 창야오는 ‘산문화’에서 돌파구를 찾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