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ing a method suggested by Yanovskaya, we obtained Rayleigh wave group velocities with a resolution of 1.0o ×1.0o in a period range between 10 and 80 s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Both regional and distant earthquake data sets were used together in analysis of group velocities. The resolution of the group velocity maps has been remarkably enhanced by the method, especially in the sparse/non-station region in the northern Korean peninsula. Some qualitative geophysical information was inferred from the group velocity maps. In the East Sea, the slow group velocities at periods longer than 40 s suggest the existence of an oceanic lithosphere at depths of 50-70 km, assuming 4 km/s of S wave velocity at a period of 40 s. On the other hand, a thick lithosphere can be inferred in the continental area from the fast group velocities at periods longer than 50 s. For most periods, the group velocities change rapidly over a short distance of about 200 km across the ea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which may suggest a rapid change in the thickness of lithosphere in this area.
천부지반에서 레일리파의 군속도와 위상속도 분산곡선을 역산하여 S파 속도구조를 구하는 방법을 비교하였다. 위상속도를 구하기 위해서 τ-p stacking 방법을 이용하였고, 군속도를 구하기 위해서 두 가지 방법, multiple filtering technique(MFT) continuous wavelet transform(CWT) 방법을 사용하였다. 고차모드가 존재하는 경우, 위상속도에서 기본모드와 고차모드를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았고, 군속도에서는 continuous wavelet transform 방법이 multiple filtering technique보다 효과적이었다. S파 속도 역산 결과, 위상속도와 군속도의 기본 모드만 역산할 경우, 신뢰구간의 깊이가 아주 얕았다. Continuous wavelet transform으로 구한 기본 모드와 1차 모드를 동시 역산할 경우, 신뢰구간의 깊이가 2배 이상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1차 모드의 에너지가 더 깊은 층을 통과함으로 깊은 층에 대한 5파 속도 정보를 지니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위의 방법을 서해안 동호항의 조간대에 적용하여, continuous wavelet transform으로 구한 군속도의 기본 모드와 1차 모드를 동시 역산하여 S파 속도구조를 구하고, 해당 지역의 시추조사 결과와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