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onsistency of widths by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sidewalk in Korea and Japan Neighborhoods Area. METHODS: Literature on the sidewalk width of the Neighborhood Area is reviewed to compare the consistency of width. Through on-site surveys, We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sidewalk in Korea and Japan. This compares the sidewalk width consistency in the Neighborhood Area. RESULTS : The width of whole sidewalks in Japan is ranged 330~445cm, which is lAvger than The width of whole sidewalks in Korea, ranged 237~420cm. Frontage Zone width is ranged 60~65cm in Japan, similar to 60cm in Korea. However, in Korea, there is a lAvge difference between Frontage Zone width and walking width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width is lAvger than Japan. The Pedestrian Zone width is ranged 172~325cm in Japan, which is lAvger than ranged 0~295cm in Korea. The width of the Furniture Zone is ranged 135 ~ 331cm in Japan and lAvger than ranged 90~225cm in Korea. In Korea, the difference between the Furniture Zone width and the walking average width is small,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width is smaller than that of Japan. CONCLUSIONS : In conclusion,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frontage zone and the pedestrian zone width, which are included in the valid sidewalk width, The Korea is lAvger than in Japan. valid sidewalk width of Korea sidewalk is inconsistent. valid sidewalk width for wheelchair users does not meet the width of more than 2 meters.
        4,000원
        2.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급격한 도시화는 교통지체를 포함하여 다양한 교통문제를 유발하였다. 따라서 도로건설, 교통소통 위주의 정책을 통해 교통지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차량중심의 교통소통 정책의 한계를 인식하고 최근에는 인간중심의 녹색교통 정책으로 전환 되고 있다. 도로다이어트는 이러한 녹색교통의 하나로 추진되고 있는 개념이다. 도로다이어트는 차로수, 차로폭 등을 줄여서 확보된 공간에 자전거도로, 보행자를 위한 쾌적한 보행로 등 녹색교통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방법이다. 도로다이어트는 최근에 도이된 개념으로 아직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연구가 많이 수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로다이어트를 위한 차로폭 축소 방안에 대한 기초적이고 실증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해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차로중심선에서 이격량을 분석하여 차량이 주행시에 필요로 하는 최소한의 차로폭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소형차의 경우 조사지점별로 2.34~2.70m, 대형차의 경우에는 2.62~2.89m의 차로폭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 도로다이어트 등 설계자의 목적에 따라 차로폭을 다소 축소할 수 있도록 설계기준을 완벽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도로다이어트, 도로공사 등으로 인해 동행이 가능한 도록폭이 축소되었을 때 차로폭 축소를 위한 설계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3.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악터널과 달리 도심지 지하도로는 대부분 평야지대에 위치하고 충적층이 두껍게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터널 입․출구부는 병렬터널로 분기되는 지점인 동시에 하향굴착을 하는 관계로 터널 시․종점의 위치선정에 따라 공사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게 된다. 또한 병렬터널의 필라폭(PW)은 지하 보상비와 직결 되기 때문에 병렬터널의 안정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최소의 필라폭(PW)으로 터널을 계획하여야 한다. 국내 도로터널의 필라폭(PW)은 일반적으로 1.5D(D: 터널 최대폭)를 기준으로 하며 일부 터널의 경우 입․출구부 극히 한정된 구간에서만 1.5D(D : 터널 최대폭)이내의 필라폭을 적용한 사례가 있으나 보상비 문제가 아닌 선형계획측면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한 사례들이다. 본 논문은 NATM형식으로서 국내최초 도심지 지하도로 설계사례를 통해 선형 계획단계에서부터 지하 보상비 및 지반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 필라폭을 설계한 사례를 소개하고 도심지 병렬터널의 적정 필라폭 결정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적정 필라폭 결정은 설계 및 시공사례 분석과 수치해석을 통한 강도 감소법과 강도/응력비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터널간 초근접으로 인해 필라의 안정성이 불량한 터널 입․출구부는 안정성 확보를 위한 보강 방법을 제시하고 수치해석을 통해 안정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