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sults of data visualisation and analysis of relevant literature on China Knowledge Network (CNKI) with CiteSpace show that China's overall research in the field of emergency language services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strong interdisciplinarity and practice orientation,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new crown epidemic. However, the research on language demand in specific scenarios is slightly insufficient, and the systematic construction of talent training system still needs to be impro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visualisation analysis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small language demand and small language education in central Zhejiang, the construction of the emergency small language service talent training system in central Zhejiang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a government-school-enterprise synergistic training model. The government should strengthen policy support and resource integration, while enterprises and social organisations take responsibility for standard setting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lleges and universities need to strengthen language proficiency and professional knowledge course design. Individual strength requires recognition by society as a whole through the qualification system.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era of information technology should be incorporated to promote the concept of small language services through the integration of technologies such as the Internet,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본 연구는 학교습식의 위생안전성관리에 대한 학부모의 지식, 태도 및 행동 수준과 이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1개 도지역에서 직영급식을 실시하는 초등학교에 다니는 학생의 어머니를 무작위로 추출하였으며, 미리 개발된 설문지에 의하여 2001년 4월부터 5월 사이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응답자의 자기기입식으로 수행하였으며 응답자 301명의 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응답자의 점수에서 전반적으로 행동 수준(평균 2.89점)은 지식 수준(평균 4.48점)이나 태도 수준(평균 4.34점)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p<0.05). 또 5개 범주(식품안전성관리, 종사자개인위생관리, 시설·설비·기구위생관리, 폐기물관리 및 기록유지관리)에서도 모두 그러한 경향을 보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응답자의 학교급식의 위생안전성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교육 수준이 비교적 많이 제시되었으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용인으로는 학교급식활동 참여 여부가 가장 많이 제시되었다. Pearson 상관분석 결과, 응답자의 지식과 태도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r=0.61404, p<0.01). 이러한 결과는 응답자의 지식과 태도는 양호한 수준이나 지식과 행동 및 태도와 행동 사이에는 큰 격차가 있음을 제시한다. 학부모의 학교급식의 위생안전성관리에 대한 행동 수준을 향상시키고 또한 이러한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학교급식참여 프로그램을 강화 및 개발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