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송은 과거를 통해 많은 인재를 선발하였다. 과거 선발 인원의 확대는 많은 과거 준비생을 탄생시켰고 이들은 새로운 사대부 계층을 형성해 송대 사회의 주역이 되었 다. 송 황실은 士大夫들의 宴會나 畜妓에 대한 관용적 태도를 취하였고 이는 사대부 와 歌妓의 만남을 촉진시켰다. 만남에는 歌妓의 노래와 연주가 있었고 여기에 맞춘 塡詞의 풍조를 탄생시켰다. 이런 사회적 환경 속에서 사의 창작도 급속도로 늘어났 다. 숭문정책으로 과거급제자가 급격히 늘어났는데 늘어난 진사급제자 숫자만큼 같 은 시기 사 작품의 숫자도 비례하여 증가한다. 송사의 대표작가 30명을 분석해보면 사가 흥성한 북송시기 사인이 17명이다. 그 중 진사출신이 13명으로 76프로를 차지 한다. 인구에 회자되는宋詞三百首를 분석해 보아도 북송시기 진사출신 詞人이 60 프로에 달한다. 즉 송사는 숭문정책으로 인한 사대부계층의 확대와 그에 따른 도시 문화, 음악문화, 歌妓문화가 어우러져 흥성했음을 알 수 있다.
        6,000원
        2.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mpared with Sui and Tang Dynasties, the variant and vulgar characters were reduced, and the use of characters tended to be unified during the Song Dynasty. However, there are a lot of folk characters in the stone inscriptions of the Song Dynasty, which are valuable materials for studying the history of Chinese characters. Nonetheless, the folk characters in the stone inscriptions of the Song Dynasty have not been given enough attention in academia and so far only limited studies have touched on this topic. This article first expounds the research value of variant characters on stone inscriptions in the Song Dynasty, and defines the concept of variant characters on stone inscriptions in the Song Dynasty. Then, in the form of illustration, it studies 10 examples of variant characters in stone inscriptions in the Song Dynasty, with a table of variant characters on stone inscriptions in the Song Dynasty, in order to provide reference for the study of medieval characters and the development history of Chinese characters.
        6,600원
        3.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宋代 瓷器에 보이는 嬰戱紋의 시기별, 소재별 유형과 金과 高麗로 전파된 이 후 수용과 변화된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자기 뿐만 아니라 회화, 금은기 등 과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영희문은 아이가 놀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문양으로, 南北朝時代 금속기에서 처음 보 이기 시작한 이후 唐代 長沙窯에서 자기의 장식요소로 처음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송대에 이르면 南ㆍ北方 여러 窯址에서 자기장식요소로 활발히 제작되기 시작하며 다양한 소재와 결합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송대 영희문이 다수 확인되는 耀州窯와 定窯, 磁州窯, 景德鎭窯 등을 중심으로 시기별 변화 확인을 통해 송대 전기에는 거의 확인되지 않던 영희문이 중기에 이르러 북방지역의 요 주요와 남방지역의 경덕진요에서 등장하기 시작한다. 이후 송대 후기부터 요주요를 중심으로 도상과 소재가 다채로워지기 시작하였으며, 북송말-남송초에는 영희문이 확산되어 많은 요 지에서 제작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확인되는 송대 영희문은 결합되는 소재에 따 라 화훼, 과실, 불교, 민간생활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營造法式과 같이 관에서 반포한 서적의 보급과 함께 多子多孫, 子孫蕃盛 등의 의미를 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송대 영희문의 확산과정에서 금과 고려도 영향을 받아 영희문 자기를 제작하게 되는데, 금은 결합된 양상과 구성에서 북송대와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자주요에서 북방 민족의 복식으로 변화되는 양상이 확인되며, 이와 함께 당시 ‘百子圖’, ‘嬰戱圖’ 등의 회화에서 확인되는 아이들의 유희소재가 단독으로 나타난다. 고려에서는 12세기 중반 이후부터 영희문 자기가 제작되기 시작하며, 결합 소재와 아이 의 복식 양상을 통해 요주요의 영향을 받은 이후 정요의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보여진다. 고 려 영희문 자기는 크게 넝쿨과의 결합구성, 단독소재 구성, 회화식 구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그중 회화식 구성은 송대 회화의 영향과 함께 남송대 금은기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 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6,600원
        4.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중국에서 북송(960~1127)과 남송(1127~1279) 시기에 유행하였던 점다법(點 茶法)에 사용되었던 금속제 다구를 통해 송대의 차문화의 역사적 의미와 고려 차문화를 살 펴본다. 차의 정수는 차 거품이라는 의견은 당대의 육우에 의해 주장된 바 있다. 이 차의 거품을 맛있고 멋있게 만들기 위해 점다문화가 투다문화로 발전한 것은 차의 정치사를 행했던 송대 사회의 문화적 특징으로 이해된다. 일반 백성에서 황제에 까지 공유되었던 점다문화는 차의 질과 다구의 질을 계층에 따라 달랐고 사치가 극성하게 된 배경이 되었다. 칠기, 주석, 흑자와 청자 그리고 백자의 도자기, 주석, 금은기 등의 다양한 재질로 다도구가 제작되었고 특히 금은기는 감상수준으로 발전하 는 원동력이 되었다. 금은제 다도구는 송대 이전의 황실의 다도구인 법문사 지궁의 의종의 공양품을 통해 살펴 보았다. 바로 이 법문사의 다구를 통해 차의 포말을 즐기는 점다법으로 이해되는 다문화의 과정을 엿볼 수 있었다. 송대의 점다법에 구사된 금속제 다기에 대해서는 그간 연구된 바가 없었다. 이글에서는 금은기로 만든 주자와 잔과 탁의 기형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방식으로 고찰해 보았다. 13 세기 팽주 교장의 금은기를 통해 두립형의 잔과 끼우게 되어 있는 구조의 탁, 그리고 절견형 의 주자는 다기로 사용하였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송대 점다법을 수용한 고려의 금속제 다구들의 존재를 은숟가락과 미국 보스턴박물관 소 장의 금도은제주자와 승반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 다구들에서 동시대의 국제적 흐름을 타면 서도 고려만의 독자적인 미감이 파악되었다.
        6,700원
        5.
        202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東晉의 王羲之(303-361)가 쓰고 宋人(米芾(1051-1107)로 추정)이 편찬한『草訣 百韻歌』에서 시작한다. 기존 歌訣 해설과 다르게 본 연구는 전통 이론과 실제 붓을 잡고 쓴 경험을 바탕으로, 宋人이 가결을 통해 후학에게 전달하고자 했던 초서의 요체를 새롭게 밝히고 자 한다. 이로써 전통 이론 중, 초서에게 부여된 ‘積其點畫, 乃成其字’, ‘草以點畫為情性, 使轉 為形質’과 같은 간단명료한 원칙의 의미를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초서 문자 구조에 잠재된 변화규칙과 초서의 ‘連綿’, ‘游絲’의 추론과 설명 방식을 고찰할 것이다. 이는 초서 문자의 해독과 초서 문헌의 이해할 수 있게 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방법 및 과정은 크게 4가지로 구분된다. (1) 『草訣百韻歌』 중 간략하게 서술된 초서 변화의 요체를 해석하고, 점을 찍는 것에서부터 선을 연결하고 문자를 구성하는 기본 ‘結字 法’을 상세하게 분석한다. ‘圓筆’, ‘潤筆’, ‘渴筆’, ‘轉筆’ 등의 필법이 포함되며, ‘楷’에서 ‘草’로 전개되는 과정에서 문자의 틀과 필획의 구조 변화도 설명한다. (2) 초서에서 가로획과 세로획의 교차 운용 법칙을 상세하게 분석하고, 나아가 ‘撇捺改筆’, ‘戈法變換’ 등 획과 선의 배치, 한자 구조의 변화 등도 아울러 분석하고 논한다. 이는 초서 쓰기, 읽기, 이해에 이론적이고 과학적 해결법을 제공할 것이다. (3) 초서 章法의 기본을 해석하고 초서 필획 중 虛・實의 분배와 운용 및 ‘計白當黑’, ‘意連形連’과 같은 필획 구성의 요체를 고찰한다. (4) ‘連綿’을 재구조화하고, 초서의 점과 획의 변화 규칙을 활용하여 ‘連綿’, ‘游絲’의 필법 원리를 해석한다. 또한 고문헌의 해석에 응용하여 ‘龍蛇競筆端’에 포함된 초서로 쓰인 한자의 수수께끼를 풀어낼 것이며, 이로써 초서 筆法字學 학습의 중요성과 그 가치를 밝힌다.
        5,800원
        6.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고는 일본 헤이안 시대 말에서 가마쿠라 시대 초기 중국에서 전래된 차의 수용 양상 을 천태대사공(天台大師供), 계어독경(季御讀經), 북두법, 나한신앙과 나한공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당시 궁정과 사원 의례 및 승원에서 사용된 차의 구체상에 대해 살펴본다. 특히, 입송(入宋) 일본 승려들의 일기류 문헌, 선원청규(禪苑淸規)를 포함한 송대 사원의 각종 규칙서, 당시 남송 승원의 모습을 담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나한도에 표현된 끽다 관련 양 상을 함께 분석하여, 일송(日宋) 교류의 배경 속에서 입송 일본 승려들이 중국에서 경험한 사원 의례와 승원 문화 속 차의 모습이 어떤 것이었는지, 이것이 어떻게 일본에서 수용되었 는지 그 구체적 일면을 고찰한다. 의례적인 관점을 통해 단순한 기호 음료가 아닌 갖추어야 할 공양물로서의 차 그리고 영적인 효능이 기대되던 차의 구체적 사용양상을 이해할 수 있으 며, 중국 송대 사원의 의례와 규율이 일본에 전래된 정황을 파악할 수 있다.
        6,600원
        7.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송대의 연유자기는 문인취향을 근간으로 하는 청ㆍ백자와 함께 송대 도자문화를 구성하 는 중요 요소이자 송 사회의 다양함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증거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송대 연유자기는 명요 생산품에 비해 만듦새가 조악하여 민간 취향으로 치부되어 크게 주목 받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그동안 간과되어온 송대 연유자기에 주목하여, 생산지와 제작 기술적 문제, 더 나아가 소비양상을 고찰하였다. 문인취향의 청자와 백자가 송대 도자의 주류로 자리 잡았지만, 한편으로 연유자기는 기술 적으로 唐代의 연유도기보다 진화되어 이미 일상용기를 비롯한 예기, 부장품과 명기 등에 대한 수요로 선호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당대보다 더욱 확장된 생산규모는 송 사회의 연유자 기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음을 방증하며, 소비 계층 역시 상류층부터 서민에 이르기까지 폭넓 게 사용된 점이 확인된다. 그 외 송대의 연유자기는 지역별 출토양상의 차이를 보이는데, 가령 북방은 일상용품이 주를 이룬다면, 남방은 도용과 같은 부장품의 출토가 압도적으로 많은 편이다. 특히 승려나 불상, 馬首人身ㆍ鳥首人身ㆍ人首蛇身ㆍ12지신 등 도교적 도상의 출현은 송 조정의 정치적 통치와 판단에 따라 유ㆍ불교가 조화된 사상의 확산에 따른 결과물로 이해된다. 특히 사 천지역에서 유독 도교적 도상의 출현이 많은 배경에는 도교의 발원지로써 일찍이 도교신앙이 널리 보편화된 배경을 꼽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이곳이 남북교통로의 접전지로 당대 북방 중 원지역에서 성행했던 삼채도용 제작과 장례문화가 남방으로 이전될 수 있었고, 남북방의 문 화가 융합된 결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6,900원
        8.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송대 금속공예는 仿古銅器와 金銀器라는 두 가지 축을 중심으로 발전해왔다. 방고동기 는 예제개혁과 회복을 통한 권력강화를 위해 황실 주도 하의 진행된 금속공예였다. 북송의 방고동기는 휘종대에 집중적으로 제작되었고, 상대 고동기의 기형과 서주 고동기의 명문을 적용하였으며, 부분 주조 후 접합하는 방식으로 제작하였다. 남송대 방고동기는 紹興, 紹熙 연간에 주로 제작되었고, 宣和博古圖를 바탕으로 淳熙釋尊制度圖, 紹熙州縣釋奠儀 圖와 같은 예서를 활용하여 새로운 경향의 방고동기를 만들었다. 송대의 금은기는 재질의 희소성에도 불구하고 사용이 보편화 되었는데, 東京夢華錄등 의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송대 금은기 사용의 보편화는 시장경제의 활성화를 의미하 는 것으로 금은기 소유는 제한적이지만, 사용은 영업장을 방문한 사람은 누구나 할 수 있었 다. 송대 금은기는 협층법과 거푸집 단조 등 전대와는 다른 기법으로 제작하기도 하였는데, 협층법은 기형의 중후함과 내부를 매끄럽게 만들어 사용이 편리하였고, 거푸집 단조는 동일 기형을 대량생산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문양 표현에서는 화훼문과 인물고사 등이 주요 문 양으로 등장하였고, 타출기법으로 문양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송대 방고동기와 금은기는 재질과 기형, 문양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금은으로 방고동기를 만들고 고동기의 문양을 금은기에 적용한 것은 당시 금은기에도 방고동기의 영향이 있었다는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송대 금속공예의 두 가지 축인 방고동기와 금은기의 소유는 황실과 관료 등의 지배층에 국한되었지만, 소비와 사용은 다른 양상을 보인다. 방고동기의 사용은 황실과 관료 등 지배 층에 국한되었지만, 금은기는 영업점에서 누구나 사용할 수 있었던 공예품이었던 것이다. 송 대 방고동기와 금은기는 역할의 차이가 있었지만, 황실에서 민간으로 그리고 상품화로 다양 하게 변화하는 모습을 잘 보여준 송대의 금속공예의 두 가지 축이었다.
        7,700원
        9.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의 장의예술은 보수성을 띄며 전례를 중시하기에 다른 예술장르에 비해 민족성과 지 역성이 아닌 시대와 사회 변화에는 그다지 민감하지 않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북송 말엽 화북지역에 집중적으로 축조되기 시작한 벽화고분은 전례 없는 특이점들을 보이게 되는데 이 와 같은 변화의 원인으로 벽화고분의 주요 주문자인 묘주층의 사회적 신분 변화가 지적된 바 있다. 송대 이후 성장한 부유한 중간계급은 기존의 상류계급 전유의 고급문화를 선호하여 벽 화고분 축조를 주도했지만, 형식상의 전례를 따르지 않고 벽화의 구성과 양식을 취향에 맞게 변화시키는 등 자기화하였다. 북송대 이후의 신흥 묘주층은 벽화고분의 형식을 바꾸어 놓았 을 뿐 아니라 벽화고분이 사회적으로 인식되고 이용되는 방식도 바꾸어 놓았다. 이 점에 있 어 북송대 벽화고분은 새로운 사회적 가치가 형성되는 시대적 환경 속에서 어떻게 다르게 이 해되고 받아들여졌는가를 살펴볼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북송대 벽화고분의 특징을 가장 잘 보이는 벽화 속 <宴飮圖>를 집중 분석하여 이 시대의 벽화고분이 오대 이후 급변한 사회를 반영하는 방식을 살펴보고자 했다. 본 논문 이 주목하는 <연음도>는 묘주부부가 한가로이 연회를 즐기는 장면으로 단순히 벽화를 구성 하는 하나의 도상일 뿐 아니라, 전통적으로 묘주의 정체를 명확히 하고 그들의 내세생활을 대변하는 벽화의 중심 주제로서 기능하였다. 따라서 그 세부 표현에 있어서는 묘주의 신분과 사회적 위치가 강조되며 사자의 특권으로서 현실에서 보기 힘든 신비로운 광경들이 연회의 장면으로 연출되곤 하였다. 그러나 북송대 고분벽화에서의 <연음도>는 묘주의 표현으로부터 전반적인 분위기에 이르기까지 이전시대와 사뭇 다른 모습을 보이는데, 그 차이는 ‘세속성’ 의 강화로 요약되며 이는 묘주인 중간계급이 벽화고분 축조와 사용에 투영한 그들만의 바람 을 반영한다. 본 연구는 북송대 고분벽화 속 <연음도>에서 세속성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발 현되는가를 분석하고, 그것이 벽화고분이 오랜 전통으로부터 탈피하여 새로운 사회적 의미를 지니게 되는 근본적인 요소로서 작용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6,600원
        10.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훼문은 감상의 대상인 화훼를 인간의 조형능력을 사용해 조합하여 예술 전반에 사용한 장식문양을 일컫는다. 이러한 화훼문은 宋代(960~1279)부터 실제 화훼의 모습을 반영하 여 예술 전반에서 단독적인 장식제재로 등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송대 금은기의 조형과 문양 에서 화훼가 적극 반영되는 점에 주목하여, 화훼문이 유행하게 되는 원인과 사용양상을 송대 사회에서 유행한 화훼문화와 결부시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南宋代 窖藏 및 무덤 출토품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茶, 酒具와 首飾 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송대부터 보편화 되었던 화훼가 사실적으로 표현되었다. 이는 화훼가 상징하는 의미와 관련된 茶, 酒文化가 있었고, 머리나 몸에 화훼를 지녀 신분을 드러냈던 송 사회를 반영하고 있었다. 이처럼 금은기를 통해 화훼문화를 조명하는 것은 그간 연구되지 않았던 송대 금은기의 성 격을 밝힐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동시에 송대 도시문화의 특징이 어떻게 금은기 에 반영되었는지도 살펴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송대 화훼문화와 화훼문은 동아시아로 전 파되는 과정에서 遼와 高麗 금은기에 보이는 화훼문에도 일정 부분 영향관계를 살필 수 있어 중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6,000원
        11.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까지 송대의 기행문에 대한 연구는 남송 시기 가장 많은 작품을 남긴 周必大 가 아닌 陸遊와 范成大의 작품에 주로 편중되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에서 연구되어진 바 없는 주필대의 기행문 중 『歸廬陵日記』, 『泛舟遊山錄』, 『奏事錄』, 『南歸錄』을 중심으로 주필대 기행문의 특징이 무엇인지 소개하는 동시에 그것이 송대 기행문의 형성과 발전에 있어서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 함께 고찰해 나아가려 한다.
        5,400원
        1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文化는 사회의 발전을 이끄는 ‘소프트 파워’라고 일컬어지지만 물질적 토대와 정치적 변화로부터 온전히 홀로 설 수 없다. 中國 宋代 목축업과 조리기술의 발달은 양고기를 중심으로 한 독특한 육식문화를 만들어내었고, 이는 신분과 계급의 상승이라 는 무거운 상징성을 가지게 되었다. 이에 반해, 돼지고기는 저급한 식재료에서 식문화의 중요한 위치로 점차 받아들여져 신분·지역을 아우르는 문화우월감의 상징이 되었다. 본 논문은 宋代 육식문화의 발달과정을 문헌에서부터 살펴보고, 이를 통해 당시 육고기에 대한 인식 변화와 문화 상징성을 고찰한 것이다.
        5,800원
        13.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into ancient artifacts originated from the age of King Zhen (真) in the Song Dynasty. The research by Liu Chang and Ouyang Xiu in the age of King Ren (仁) opened the fashion for epigraphy collection and appreciation to ancient artifacts. The academic notes in the Song Dynasty mainly discussed the context of three levels. Firstly, the collection of ancient artifacts. For example, Nenggai Zhaiwanlu of Wu Zeng and Yanxia Fangyan of Ye Mengde all described the collection of ancient artifacts in the Qin and Han dynasties. Secondly, historical research on epigraphy. For example, Mozhuang Manlu of Zhang Bangji and Rongzhai Suibi of Hong Mai all used the epigraphy and stone inscriptions to verify the history of ancient artifacts. Thirdly, the textual research on epigraphy such as Guangchuan Shuba of Dong You, Dongguan Yu lu of Huang Bosi. They all recorded the comments on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inscription or epigraphy while it also contained the comments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alligraphy art. The stone inscriptions stored in the academic notes of the Song Dynasty then become an important reference to studies on the Epigraphy of Song Dynasty, which not only provides an important proof for the construction of calligraphy or epigraphic history in the Song Dynasty but also expands the academic horizon for the research on epigraphy in the later generations that holds academic and historical significance.
        5,400원
        14.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exts, the scholarly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is divided into two: one is Jingshu Shiyi (經書釋義 : Commentaries on the Confucian Scriptures of The Four Books and Five Classics) investigating the books of pre-Qin Confucianism and the annotations of Han-Tang period; the other is Yulu Shiyi (語錄釋疑 : Commentaries on the Analects) studying the analects of Song-Ming Neo-Confucianism. Having been recorded in colloquial languages, the analects are particularly significant due to their deep relationships to certain linguistic questions. For this reason, this paper introduces how their inflow and dispersion were made in Joseon and explores their specific aspects since Yulu Shiyi developed and produced a number of great achievements in Joseon’s scholarly history. It was during the Goryeo Dynasty that Neo-Confucianism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for the first time, and it was not until the late 13th century that the full-scale acceptance of the doctrines began. The inflow process of the analects went through two stages. The first one was the late Goryeo during which Neo-Confucianism resting upon the literature of Zhuxi was introduced. The second one was the early Joseon during which the analects of the Song Neo-Confucianism such as Sishu Wujing Daquan《四書五經大全》 , Xingli Daquan《性理大全》 , Zhuzi Daquan《朱子大全》 , Zhuzi Yulei《朱子語類》 , Xinjing Fuzhu《心經附註》 , etc flew in. The predominant way in which the analects came to be dispersed was the compilation of annotations and dictionaries. As for the former, The Annotation of Zhuzi Yulei《朱子語類考文解義》 and more than a hundred annotation books on Xinjing Fuzhu《心經附註》 appeared; so did The Comprehensive Dictionary of the Analects of the Song Neo-Confucianism《語錄解》 , as for the latter. At the end of the paper, three supplements are presented: the analects of the Song Neo-Confucianism from Jangseogak Archives in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e bibliographical directory of the analects and annotations from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he list of relevant researches in Korea and China.
        9,500원
        15.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aboo system in the Song Dynasty was very strict, correspondingly, the academic notes of Scholars in the Song Dynasty also have a lot of taboo studies. These taboo studies have recorded a wealth of taboo materials of the past generation, which has high data value. Some of them are also good at textual research, and thus benefit the study of the later periods.But most of these studies Only record taboo materials and lack of innovation. Scholars are good at the induction of taboo materials and ignores the application research and theory construction of taboo. The reasons of taboo studies in the Song Dynasty have developed include cultural environment, the severity of the taboo in the Song Dynasty,and the adaptability between the notes gen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lars’ taboo studies.
        4,300원
        16.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송초기 詞는 반세기 이상의 침체기를 맞는다. 그 원인을 분석하면 다음 몇 가지 사실에 기인했음을 할 수 있다. 첫째로 송을 건국한 통치자들은 남방 제국이 멸망한 이유를 남방의 퇴폐적 음악과 사에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그들은 의도적으로 남방의 사를 배척했다. 북송 초기 사 작가 대부분이 남방 사람들이었음이 이를 증명한다. 또 송 이전까지 사는 남방에서 흥성한 남방문학이었다. 둘째, 송 건국초기 남방 문인들을 등용하지 않았다. 남방왕조의 문신 들을 송조에 등용되지 못했고 자연스럽게 남방 문학인 사가 북방 지역에 거점을 둔 북송시대 에 발전할 수 없었다. 셋째, 송은 초기에 남방 여러 나라와의 통일전쟁을 했다. 남방 각 지역 에서 일어나는 민란과 전쟁은 사가 발전할 사회적 환경을 제공하지 못했다. 넷째 정책적으로 사를 금했다. 따라서 사의 발전은 송이 안정되는 북송 중기까지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
        5,200원
        17.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setting of seungdang(僧堂) and gowon (庫院) in the Zen Buddhist temples of Song dynasty, in terms of as a Buddhist temple universality and as a Zen temple specificity, through the historical reference investigation on its relevance to the Buddhist temples of Tang dynasty. In the Zen Buddhist temples of Song dynasty, the Zen meditation space of seungdang was located on the west side of Buddha hall, and the kitchen and officiating priest’s living space of gowon was located on the east side of Buddha hall. Through the analysis of historical reference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Buddhist temples of Tang dynasty, the Zen meditation section of seonwon(禪院) was on the west side, and the gowon was on the east side too.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setting method of seungdang and gowon of the Zen Buddhist temples of Song dynasty was established above tradition of the Tang dynasty Buddhist temples.
        4,300원
        18.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Zen Buddhist temple’s building composition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through the analysis of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 such as Seonwon chenggyu(禪苑淸 規), Cham cheontae odaesan gi (參天台五臺山記) and so on. The building composition method of Zen Buddhist temple in Northern Song dynasty, which grasped from the Seonwon chenggyu, reflects the actual situation of the temples in that time. And it was ascertained that, the Zen Buddhist temple’s building composition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was basically same to that of Southern Song dynasty.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was attempted between Zen Buddhist temples and that of other Buddhism sect described in Cham cheontae odaesan gi. From this analysis, the common features as Buddhism temp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building composition as Zen Buddhist temple was clarified.
        4,900원
        19.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Ü Zu-Qian, ZHEN De-Xiu, and JIN Lü-Xiang are all renowned Neo-Confucianists during the Song Dynasty. Their viewpoint on literature was built on Confucianism’s Tao and they considered sentences from Liu Jing canon for their sentence structuring. Yet there are differences in compilations they made regarding selection of literatures and writers based on their selection criteria. LÜ Zu-Qian’s Song Wen Jian contained various works and writing styles, adhering to the emperor’s order to select sentences that would do good for politics. However, his compilation is criticized for lack of coherence. His another compilation Gu Wen Guan Jian mainly consists of sentences of archaic prose writers, holding true to its purpose of guide to sentence structuring. Taken together, overarching characteristics of LÜ’s compilations are purpose of guide to sentence building. ZHEN De-Xiu viewed sentence as part of academic pursuit, and argued that literature should identify sages’ findings and teachings. And it should be practically useful for the country, not merely a talk for talking’s sake. Holding true to such belief, ZHEN compiled Wen Zhang Zheng Zong by dividing the compilation into four sections: CiMing (purpose), YiLun (exchange of opinion), XuShi (launch work) and ShiFu (verse and prose) in a bid to teach readers for what the right kind of literature works is. This book, albeit stronger philosophical thought of Neo-Confucianism of the Song Dynasty compared to LÜ’s compilations, is mainly intended as a guide to creation of literature. JIN Lü-Xiang’s Lian Luo Feng Ya, the first compilation of poems written by Neo-Confucianists of the Song Dynasty contains the Lian Luo School’s poems and proses to identify the school’s origin and scholastic mantles. JIN put his painting Lian Luo Feng Ya Tu on the first page to demonstrate his academic tradition as a successor of Zhu Xi, and arranged literature works in the order of this. It has an implication as the first compilation of the Song's Neo-Confucianists’ poems that abstracted poems created by figures of the Lian Luo School and reestablished line of the Lian Luo School, a big move from traditional framework of compilation for traditional literatures.
        5,100원
        20.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racket sets which are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roof, has to meet both requirements which are structural functions and act as an ornamental element. Therefore the bracket sets differ in many types from time and space and has done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architecture with many studies being presented. The first form of the bracket set has been found in the bronze table relics in zhōng shān wáng líng (中山王陵). Through the Eastern Han dynasty (A.D. 25-220) it became more specific in the shique (石闕) and huaxiangshi (畵像石) in the Han dynasty (206 B.C.-A.D. 220). Afterwards, as Buddhism was introduced to China, the bracket construction techniques shown in the Mogao Caves, Yungang Grottoes, and Longmen Grottoes has given much help for understanding the building techniques of wooden architecture. Especially the Xia-ang structure seen in the Mogao caves shows a vast development in wooden structure and a typical building would be the main hall of Fo Guang Shan monastery in Mt. Wutaishan from the Tang dynasty (A.D. 618-907). This accumulated techniques is inscribed in the 'Ying Zao Fa Shi (營造法式)' wooden structure designs which was published during the Northern Song dynasty (A.D. 960-1127) and many buildings were constructed following this technique after the publication. During this period, it is assumed that Baek-jae (B.C.18-A.D.660) in the Korean peninsula also used the Xia-ang technique, but there havn't been many studies on this field. In this thesis it is introducing the development of the building techniques and structural features of the Xia-ang wooden architecture during the Tang and Song dynasty.
        4,8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