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3

        42.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pidemiological research to investigat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oultry farms confirmed with avian influenza (AI) infection can help increase the efficacy of AI surveillance as well as AI control strategi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oultry farms confirmed with AI infection can provide insights on effective AI-surveillance and AI-control strategies to policymakers by providing a visualization of the geographical pattern of AI distribution. The goal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risk of a farm being AI-positive by using data from routine AI-surveillance performed during the period 2014–2015. To achieve this goal, we applied a spatial model because it improves the estimation of the relative risk by taking into account spatial dependence between epidemiological units. The results revealed there was a lack of dependency between districts in the risk of a farm being AI-positive. The estimates for the spatial autocorrelation coefficient in the spatial model for chicken farms were 0.006 in 2014 (p = 0.9496) and -0.064 in 2015 (p = 0.6052) and for duck farms were -0.066 in 2014 (p = 0.4380) and 0.047 in 2015. Likewise, Moran’s I statistic estimates for chicken farms were 0.0243 in 2014 (p = 0.3183) and -0.0174 in 2015 (p = 0.5657) and for duck farms were -0.0342 in 2014 (p = 0.6678) and -0.0230 in 2015.
        4,000원
        46.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tick survey was conducted to monitor ticks using tick traps attached dry ice and a flagging method at each four sites in Busan, Ulju, and Geoje areas of Gyeongnam Province from April to November, 2018. Haemaphysalis longicornis was the most frequently collected, representing 99.8% in Ulju. A total of 27,247 ticks were collected as H. longicornis (Trap Index; TI 283.2), H. flava (TI 0.3), and Ix. nipponensis (TI 0.3). In the collection environment, a total number of 15,672, 5,798, 4,876, and 901 ticks were collected from glassland, tump, tomb, and mountain path,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H. longicornis and Ix. nipponensis were collected with flaggings at the four sites in Ulju, Busan, and Geoje in May and June, 2018. A total of 1,517 ticks collected H. longicornis (Flagging Index; FI 9.3) and Ix. nipponensis (FI 0.1) in Ulju. Haemaphysalis longicornis were collected 2,183 (FI 13.6) and 1,596 (FI 10.0) in Geoje and Busan, respectively. In the results of the isolation of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from the ticks, no pathogens detected from RNA of 557 pools of the ticks using a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in 2018.
        47.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alaria is notorious disease to transmitted by Anopheline mosquitoes. In Korea, Plasmodium vivax malaria was re-introduce in 1993 and exceed to more than 4,000 cases in early 2000s. Based upon our control efforts, it was sharply decreased and diagnosis 576 cases in last year. We made Action Plan in this year for certification of malaria elimination by WHO until year 2024. In this plan, we need to strengthen our capacity of vector surveillance and control. For vector surveillance, we will introduce daily mosquito population monitoring system. In 2020, every malaria high risk area install two mosquito counters and send information to main server. For vector control, we will try building capacity of malaria mosquito control people in the Public Health center and military section. To decrease no. of mosquitoes, we will concentrate our resource to cattle shed, which is main blood source of Anopheline mosquitoes. Based 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Anopheline, we will adopt Integrate Vector management (IVM) including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 Based on the reconciliation with North Korea, we will support technical and material support for malaria elimination.
        49.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2017, a total of 82 non-target species representing six orders of insects were captured in four types of tephritid fruit fly (Diptera: Tephritidae) surveillance traps located in Korea; the species included 6 families of Coleoptera, 1 of Dictyoptera, 17 of Diptera, 2 of Hemiptera, 3 of Hymenoptera, 1 of Neuroptera, 4 of Lepidoptera, and 1 of Raphidioptera. Of these, Diptera were the most abundant; the main families included Muscidae, Tephritidae, and Anthomyiidae. Herein, based on a survey, we present a list of the species of non-target insects captured in the tephritid fruit fly surveillance traps.
        5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total of 53 nontarget species representing six orders of insects were captured in the codling moth surveillance traps placed in Korea over the last eight years. These included 20 species (37.7%) of moths (Lepidoptera) belonging to 9 families of which 9 species were tortricids, 12 species (22.6%) of beetles (Coleoptera) belonging to 10 families, 11 species (20.8%) of flies (Diptera) belonging to 7 families; 4 families of true bugs (Hemiptera) including one species of Anthocoridae (9.4%); 1 family of Hymenoptera including 2 species of Formicidae (3.8%) and 1 family of Neuroptera including 3 species of Chrysopidae (5.7%). A list of the species of nontarget insects captured in the codling moth surveillance traps is provided. A brief diagnosis and photographs of Aterpia issikii Kawabe, the tortricid moth newly documented in Korea are provided.
        5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경기지역에 발생하는 돌발 및 남방계 해충의 발생실태 조사결과, 겨울철 경기지역 평균기온이 전년보다 3.7℃, 평년보다는 1.2℃ 낮게 경과함에 따라 포도 재배지 꽃매미 평균 월동난 부화율은 35.6%로 전년 대비 60% 감소하였음. 블루베리 재배지 갈색날개매미충의 평균 월동난 부화율은 26.9%로 전년 대비 50% 감소하였으며, 겨울철 피해가지 제거로 부화약충의 밀도는 매우 낮았음. 저온 적응성이 강한 미국선녀벌레의 경우 6월 중순 안성지역 평야 블루베리에서 약충이 가지당 최대 6.64마리 발견되었으나, 하절기 고온 등으로 성충의 밀도는 크게 감소되었음. 남방계 해충인 볼록총채벌레는 포도 재배지에서 5월 하순부터 발견되기 시작하여 7월 상순부터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 가운데 지역별로는 남부지역(안성), 지대별로는 중산간지 > 산간지 > 평야지 순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음.
        5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8년 강원도 춘천의 경우 동계최저기온(12월 상순~2월 중순)은 전년대비 약 0.2~9℃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돌발해충의 월동난 부화율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실제로 갈색날개매미충은 전년대비 약52%, 꽃매미는 약67% 부화율이 낮아졌다. 또한 최근 강원도에서 발생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미국선녀벌레는 5월 하순에 부화하여 7월 상순에 인삼포장에서 주당 최대 12마리(중산간지)의 약충발생밀도를 보였고, 약제방제가 이루어지지않은 아까시나무에서는 7월상순 가지당 312마리(산간지)의 최고발생밀도를 보였다. 갈색날개매미충의 경우 복숭아과원에서의 발생은 많지 않았지만 과원주변 수목에서는 7월상순 가지당 최고 73마리(산간지)의 약충이 발생하였다. 꽃매미는 5월 하순 부화가 시작된 후 포도과원에서 주당 최고 12마리(산간지)의 약충이 발생하였지만 약제방제를 통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밀도가 점차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고, 볼록총채벌레는 8월 상순부터 발생이 시작되어 9월 상순 트랩당 4.8마리(평야지)의 발생밀도를 보였다.
        5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돌발해충인 갈색날개매미충, 미국선녀벌레, 꽃매미, 갈색여치, 먹노린재, 목화진딧물과 남방계해충인 애멸구, 배추좀나방, 볼록총채벌레, 담배거세미나방, 풀색노린재를 대상으로 충청과 제주지역에서 발생실태를 조사한 결과, 농경지내 갈색여치, 목화진딧물은 화학약제의 사용으로 관찰이 쉽지 않았고 풀색노린재는 생태습성성상 관찰이 쉽지않아 이들 해충을 제외하고 발생실태를 조사하였다. 갈색날 개매미충은 충청지역의 경우 2017년까지는 집중분포 양상을 보이다 2018년 알조사에서부터는 임의분포를 보이기 시작하였고, 미국선녀벌레는 경기와 충북 지역과 인접한 곳에서 집중분포를 보였다. 제주지역의 경우 2017년 제주시 한림읍 협재리 인근에서 최초 발생하였다. 먹노린재는 2018년 최대발생양상을 보였고, 충남 서천, 청양, 홍성, 태안을 중심으로 대발생 양상을 보였다. 애멸구는 충남 공주와 서천에서 밀도가 높았다. 갈색날개매미충과 미국선녀벌레의 발생밀도는 낮게 조사되었으나 발생면적은 증가하였다. 볼록총채벌레는 충청지역 감나무에서 발견되었고 제주지역 감귤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녹차밭에서는 발생량이 높았다. 추후 돌발 및 남방계 해충에 대한 위해성 평가를 통하여 발생가능성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5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전남지역에 발생하는 주요 돌발 및 남방계 해충으로 벼먹노린재와 애멸구, 감 미국선녀벌레, 갈색날개매미충, 볼록총채벌레, 풀색노린재, 포도 꽃매미, 갈색여치를 조사하였다. 갈색날개매미충 월동난 부화율은 평균 21.8%로 낮았으며, 약충밀도는 전년 대비 26.1% 감소하였다. 동계 최저온도 확인결과 영하 10℃이하가 5일 지속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미국선녀벌레의 경우 2017년 장성과 영암의 산림지역에 주로 발생하였는데 올해는 화순 그리고 보성, 신안 압해도의 농경지까지 발생지역이 확산되었다. 점착트랩 색상별 볼록 총채벌레 유살정도는 청색보다 황색을 선호하였고, 9 시ㆍ군에서 모두 발생하여 6월 상순에 발생최성기로 조사되었다. 꽃매미의 월동난부화율은 65%로 작년과 비슷하였으며, 현재까지 산림지역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먹노린재는 조기재배지역과 친환경단지에서 발생밀도가 높게 조사되었고, 7월 상순에 최대 발생밀도를 나타내었다.
        5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후변화와 세계시장 개방에 따른 외래 및 돌발해충의 종류는 다양해지고 밀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발생 실태에 관한 자료는 미흡하다. 본 연구는 경상지역 돌발 및 남방계 해충의 발생과 피해조사를 위해 미국선녀벌레, 갈색날개매미충, 꽃매미 등 돌발해충 6종을 경남 9시군과 경북 9시군에서 월동기 1회, 약충기 2회, 성충기 1회를 순회 조사하였고, 애멸구, 배추좀나방, 볼록총채벌레 등 남방계 해충 5종을 산간지, 중산간지, 평야지 각 3지역에서 10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돌발해충인 꽃매미와 갈색날개매미충 월동난 발생현황으로 농경지 발생면적은 2017년 비해서 2018년도에 발생면적이 늘었으나 발생 농가수는 줄어들어 발생지역은 점차 확대해가고 있으나 발생밀도는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해충별 조사결과로 미국 선녀벌레 약충이 함안에서 가장 밀도가 많이 조사되었고, 함양, 상주, 예천 둥에서 발생하였고, 갈색날개매미충 약충은 하동에서 가장 발생이 많았고 진주, 사천, 고성, 산청, 함양, 거창, 상주, 예천 등에서 넓게 발생하였으나 꽃매미 약충은 함안과 함양에서만 조사되었다. 고도별 발생 차이는 발생밀도가 적어서 알 수가 없었다. 갈색여치는 조사지역 모두에서 발생을 확인하지 못했고 먹노린재는 하동에서만 일부 조사되었고 나머지 지역에서는 확인하지 못했다. 목화진딧물은 조사지역간에 밀도 차이가 많았고 고도에 따른 차이보다는 농가에서 농작물 재배관리나 조사 시기에 따른 차이로 보인다. 애멸구의 월동기 조사와 육안조사 결과 발생밀도가 낮았고, 볼록총채벌레는 트랩조사 결과 조사지역 감나무에서 모두 발생하였으나 발생밀도는 높지 않았고 7월중 밀도가 함양에서 평균 9.8마리로 가장 높았다.
        56.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작물의 재배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작물의 재배가 가능해지고, 지구 온난화에 따른 겨울철 기온 상승으로 해충 종의 다양화와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북지역에 발생하는 돌발 해충과 남방해충의 발생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지대별로 구분하여 4개 시군에서 정점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갈색날개매미충의 30 ㎝ 당 난괴 밀도는 0.8개, 약충 밀도는 6월 상순 0.19마리, 6월 하순 0.21마리로 작년보다 밀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미국선녀벌레는 산간지인 장수에서 밀도가 높았으며, 먹노린재는 평야지에서 20주당 평균 3마리 발생하였다. 애멸구는 6월 상순 평야지인 부안에서 발생을 확인하였으며, 볼록총채벌레는 5월 중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7월 초순에서 8월 초순까지 발생이 많았다.
        57.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작물 해충 발생 실태조사란 조사지역에서 특정 해충의 발생시기, 발생량, 주요 기주직물의 종류 등에 관해 작물 생육기를 중심으로 주기적으로 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기후변화에 따라 새로이 발생하거나 피해도가 증가하는 병해충의 카테고리는 비래병해충, 돌발병해충, 남방계 병해충 등이 있다. 병해충 발생 ‘영향평가’라 함은 기후ꞏ기상 인자가 안정화된 현재의 농업생산시스템(적지, 생산성, 병해충, 생물다양 성 등)에 변화를 일으키는 영향값을 산출하는 것이다. 즉, 현재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값 차이를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병해충 발생 ‘취약성’ 이란 기후변동과 극한현상을 포함한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에 대해 특정 경작지나 그 경작지 내의 농작물이 민감하게 반응하거나 대처할 수 없는 정도를 말한다. 이번 연구는 영향평가 지표를 선정 및 이 기준으로 실시한 실태조사 결과를 가지고 특정 지역의 특정 해충에 대한 취약성 평가를 하는 방법에 관해 논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