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울산항 위험물 취급부두의 선박 크기별로 부두 운용 기준을 개선하기 위하여 각 선사의 자체안전관리계획서와 국내외 기준을 고려하고 환경외력에 취약한 4개 부두의 계류안전성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하역중단기준과 긴급이안기준을 제안하였다. 선박의 풍압면적이 작고, 파고에 따른 동요량이 큰 것으로 분석되어 10,000톤 이하의 선박은 풍속 18~21 m/s, 파고 1.0~1.5 m, 10,000~50,000톤의 선박은 풍속 17~20 m/s, 파고 1.2~1.5 m로 제안한다. 또한, 선박의 풍압면적이 크고, 선박 자체의 무게가 무거워 동요량은 적은 것으로 분석되어 50,000~100,000톤의 선박은 풍속 15~19 m/s, 파고 1.5 m, 100,000톤 이상의 선박은 풍속 14~18 m/s, 파고 1.5 m로 제안한다. 본 연구는 항만의 특성을 고려하여 부두운용기준을 실증적으로 제안하고 선박 운항자 중심의 항만 개발을 독려하였다는 데 그 가치가 있다.
        4,000원
        3.
        2014.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상에서의 통신 환경이 개선되면서, 온라인 기반의 응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전자해도는 해상온라인 애플리케이션에서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형 선박을 위한 스트리밍 전자해도 개발에 필요한 관련 기술을 도출하고, 국내외 개발 과정과 동향을 파악하고자 했다. 지리정보시스템을 이끌고 있는 두 기관, OGC와 OSGeo의 수행 프로젝트, Ajax 기법, 메르카토르 도법과 전자해도 기술 일반을 검토…
        4,000원
        4.
        201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이산호와 같이 특수 해양시설물인 유류터미널과 선박 간의 해양사고는 대규모 해양오염 발생으로 이어져 해당 기업에 심각한 손실을 끼치며 대형 환경오염을 수반한다. 본 연구는 대상선박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사고위험을 사전에 식별하여 항만시설물을 포함한 단계별 비상 대응이 가능한 유류부두 안전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개발을 제안한다. 해당 시스템은 선체, 선박운항자 및 유류터미널 시설물까지 유기적으로 통합된 능동적인 안전감시시스템으로 해상교통 모니터링과..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