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Voltammetric diagnostics of pesticide thiram was studied in plant leafs in vivo fluid with DNA immobilized on a carbon nanotube electrode (DCE). Sensor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 (CE) and DNA immobilized nanotube were compared. DCE was more effective than CE in target detecting. The parameters such as pH strength, stripping accumulation, amplitude, and increment potential were examined to find the optimum condition for detection of pesticide thiram in a sesame leaf. The optimized conditions were as follows 550 Hz frequency, 0.15 V amplitude, 0.005 V increment potential, -1.2 V initial potential, 4.78 pH, 500 sec accumulation time. Under optimum condition, the detection limit of thiram was attained at 0.01ng/L.
        2.
        199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품종 안중벼를 공시하고 조류 기피제인 methiocarb을 여러 가지 제형으로 제조하고, 약량을 달리하여 최아 볍씨에 처리한 후 새 피해, 초기 생육 및 약해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험 1> Methiocarb 제형별 새 피해 경감 효과와 모의 생육 1) Methiocarb의 처리는 제형과 약량에 관계없이 새에 의한 피해가 없었으나 무처리구는 5일후에 30%, 10일 후에 85%, 15일 후에는 100%의 피해를 입었다. 2) 입모율은 처리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 15일 후의 초장과 잎수는 methiocarb 15g 처리구에서는 methiocarb 10g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작아서 약해가 있었다. 3) 파종 35일 후 약해에 대한 회복 상태를 보면 methiocarb+thiram 15g 처리구는 초장이 유의하게 작았으나, methiocarb FS 15g처리구 초장은 무처리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2. <시험 2> Methiocarb 제형의 벼 종자 분의에 의한 본답 시험 1) Methiocarb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새 피해가 유의하게 경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파종 25일 후의 초장과 잎수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파종 10일 후에는 약제 처리구는 경후한 약해가 발생하였으나 파종 20일 후에는 무처리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