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st of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models evaluate the relative efficiency of a decision making unit (DMU)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inputs in a specific period are consumed to produce the output in the same period of time. However, there may be some time lag between the consumption of input resources and the production of outputs. A few models to handle the concept of the time lag effect have been proposed. This paper suggests a new multi-period input DEA model considering the consistent time lag effects. Consistency of time lag effect means that the time delay for the same input factor or output factor are consistent throughout the periods. It is more realistic than the time lag effect for the same output or input factor can vary over the periods. The suggested model is an output-oriented model in order to adopt the consistent time lag effect. We analyze the results of the suggested model and the existing multi period input model with a sample data set from a long-term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 in Korea. We show that the suggested model may have the better discrimination power than existing model while the ranking of DMUs is not different by two nonparametric tests.
        4,000원
        2.
        200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연 하천으로부터 홍수유출을 추정할 경우, 반드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인자들 중의 하나는 지체시간이다. 지체 시간은 집수형상디스크립터로 표현될 수 있는 유역의 형태적 특성의 영향아래 있음이 잘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Moussa(2003)에 의하여 제안된 등가타원의 기하학적 특성에 대한 개념을 유역 출구에 대한 지형학적 순간단위도 (GIUH)의 지체시간 산정에 적용한다. 강우-유출 관측 자료에 대한 지체시간은 Nash(1957)가 제안한 적률법을
        3.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Moussa(2003)에 의하여 개발된 등가타원을 기반으로 한 신집수형상디스크립터에 대한 소개 및 수문학적 적용성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두 디스크립터 a+b, a+b+과 지체시간 사이의 상관성 분석이 수행되었고 이를 Nash 모형 매개변수들의 대표치 산정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용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한강 수계의 평창강 유역, 금강 수계의 보청천 유역 그리고 낙동강 수계의 위천 유역들에 각각 이 디스크립터특이 적용되었다. 그 결과, 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