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환경문제로 인하여 비위생 매립폐기물의 처리문제가 사회적 큰 이슈가 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친환경적 및 적정한 처리뿐만 아니라 환경단체나 언론 등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대기 및 환경감시와 함께 토양, 지하수 오염 등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종합적인 사후관리 및 종료가 필요하다. 사후관리 매립장에 대해서는 정비지침의 안정화도 조사기법에 의거하여 시설물현황 및 주변 환경오염도 등 관계법령이 정하는 방법에 따라 시설물에 대한 안정성 해석 등의 연구를 수행하여 사후관리 매립지에 대한 친환경적이고 안정적인 검사 관리를 통하여 지역 주민의 불안 및 갈등을 해소하는 등의 환경복지를 구현하여야 한다. 특히, 강원도 생태·경관보전지역 이전 인근 군부대, 주민들이 투기한 것으로 추정되는 매립폐기물로 인한 환경적 문제점을 사전에 예측, 평가함으로써, 토지보전 및 경관저하의 환경피해와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 현 상태에 대한 환경안전진단 및 향후 적정한 사후관리방안을 수립하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종료 매립장에 대한 정비지침의 안정화도 조사기법에 의거하여 강원도 생태・경관보전지역내 해안사구에 매립된 폐기물의 매립심도 및 면적, 매립용량 등의 매립부지에 대한 실태를 실시하고 폐기물 매립부지에 대하여 현재 환경적 오염잠재력(매립폐기물, 매립가스, 침출수, 지하수, 지표수, 토양 등) 및 구조적 안정성(침하, 지지력 등)을 조사/분석하여 주변 환경오염도와 매립폐기물 안정화정도를 조사함으로써 사용종료 매립지의 정비 및 안정화 방안을 평가하였다.
        2.
        200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aracteristic of wastes in a unsanitary landfill at the residential development site in H city, Kyunggi-do was investigated for the disposal of huge amount of wastes. The total amount of wastes was estimated at 117,000 ton and construction solid wastes and municipal solid wastes were detected together. The portion of combustibles was very low and soils, concrete wastes, and pebbles were the major components in landfilled wastes. Because the site was the residential development site, the landfilled wastes should be removed immediately for the construction. Therefore the way that the unsanitary landfill was excavated and the wastes were sorted into three categories such as soils, noncombustibles and combustibles was selected as the best method. Soils and noncombustibles could be recycled and sorted combustibles could be re-landfilled in a smaller area or incin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