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develop motion tracking-based multi-sports game content that can prevent dementia through exercise for normal elderly people and elderly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by combining virtual reality and motion tracking technology with game content, analyze the exercise effect through clinical trials, explore the optimal dementia prevention method, and develop exercise tools and content that can be used not only at dementia care centers and nursing homes but also at home to prevent dementia in the elderly. The development of a motion tracking exercise tool is to develop a motion tracking tool that can express body movements in real time in a game by wearing it on the body. The goal is to develop a network-based motion tracking tool that can measure body movements and exercise volume. Through clinical trials and analysis, the goal is to find a way to minimize exercise tools while maintaining the exercise effect so that the elderly can wear them easily. In addition, unlike general games that only use hands, we propose three types of content that can maximize the competitive element and fun through sports genre game exercise content that can improve exercise effects and cognitive abilities while moving the whole body. Based on this, we propose a plan to build a platform that includes a management tool that can analyze clinical trial data to study the exact dementia prevention effect through exercise and explore the optimal dementia prevention method.
        4,000원
        2.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상환경시스템은 매우 현실감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산업, 의료, 교육훈련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많은 가상환경 시스템에서 부정적 요인으로 멀미, 시각피로, 방향감각 상실로 대표되는 cybersickness중세를 수반하고 있어 그 사용과 확산에 제약이 되고 있다. 이러한 cybersickness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것을 객관적으로 측정,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방법들 중의 하나로 신체동요의 정도를 평가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45 명의 피실험자들을 대상으로 가상현실 운전시뮬레이터를 운전하기 전과 후의 신체동요 정도를 힘판(force platform)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특히 본 실험에 사용된 가상현실 운전시뮬레이터는 피실험자에게 운동판(motion platform)을 이용해 운동감을 제공할 수 있었고, 피실험자의 멀미 현상이 검지되면, 시야각을 1/3로 줄여주는 멀미 완화 피드백(feedback) 시스템이 연결되어 있었다. 그래서 motion의 제공여부와 feedback의 제공 여부도 실험의 독립변수로 추가하였다. 실험 결과, 가상현실 체험 후 유의한 차이는 아니나 피실험자들의 신체동요가 약간 증가하는 것이 관측되었다. motion과 feedback에 대한 분석에서는, 유일하게 motion을 제공하는 것이 제공 안할 때에 비해 좌우 방향의 신체동요가 더 적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동요를cybersickness의 지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추후연구가 더 요청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