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9.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illions of people worldwide use the Internet. One of the many uses derived from the Internet is the development of digital trade. Digital trade thus lends itself to distinctive issues. The WTO members recognized the benefits digital trade offers and have developed a work program to facilitate the digital trade. However, their efforts have stalled, slowing down the anticipated progress. The author will try to address how the WTO supports and deals with digital trade. This essay briefly discusses the historical advancement of the Internet; defines the concept of digital trade and its development in the international market; analyzes how existing WTO agreements have dealt with digital trade; and then addresses recent trade agreements particularly the USMCA. The USMCA was chosen because it involves the largest economy in the world and the US could use its provisions as template for future trade agreements
        5,200원
        2.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international trading system today, regional trade agreements, referring to reciprocal trade agreements between two or more countries providing exclusive trade preferences, govern not only the trade relations among the parties to the RTAs, but also form additional sets of trade disciplines. These agreements exist parallel to the multilateral trading system under the auspices of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The GATT/WTO rules authorize RTAs under certain conditions; thus on the surface, RTAs appear to be a legitimate part of the WTO system. However, in substance, the preferential terms of trade in RTAs are essentially in conflict with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of the WTO system, the most-favored-nation treatment. The current proliferation of RTAs thus makes exclusive RTA preferences, which are supposedly an exception to the MFN principle, a rule rather than an exception. This article examines GATT/WTO rules on RTAs, addresses the potential conflict between RTAs and the WTO system with potential solutions, and analyzes RTAs from the development perspective.
        5,500원
        3.
        2006.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입으로 인한 미국 특허권 침해에 대해 미국무역위원회("ITC")가 취할 수 있는 구제수단(remedies)으로서의 배제명령(exclusion orders)은 그 관할권의 대물적(in rem) 성격때문에 국제통상에 장애가 될 수 있는 소지가 많다. 이러한 이유에서 1947년 GATT에서 현재의 WTO체제까지 배제명령 및 그 근거법률인 미국관세법 337조의 GATT/WTO에 대한 3번의 사법심사의 시도가 있었다. 특히 ITC에 의해 미국 특허권 침해가 결정되어 일반배제명령(General Exclusion Orders)을 받은 경우는 조사절차의 당사자가 아닌 제3자의 생산품도 수입될 수 없어 국제통상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평가된다. 본고는 이러한 배제명령, 특히 일반배제명령의 WTO적합성을 다루었다. 결론적으로 미국의 우루과이 라운드이행법(URAA)에 의해 개정된 337조의 절차와 일반 배제명령은 GATT상의 내국민대우와 일반예외 조항의 필요성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할 가능성이 많고 TRIPS와 관련해서도 특히 지재권 보호와 국제통상의 원활화라는 형량의무를 규정하고 있는 前文과 41조 위반 가능성이 높고 어떤 상황하에서는 51조 위반 가능성도 제기될 수 있다.
        4,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