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3.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호박꽃과실파리(Bactrocera scutellata)는 박과 식물의 해충으로 기주식물을 찾아가는데 냄새 감각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들의 기주 식물인 단호박, 애호박, 노란호박 및 하늘타리의 냄새물질을 포집하여 이들 추출물에 대한 호박꽃과 실파리의 촉각과 작은턱수염의 냄새반응을 GC-EAD(Gas chromatography-electroantennographic detection) 및 GC-EPD (Gas chromatography-electropalpographic detection)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촉각과 작은턱수염에 존재하는 냄새감각세 포들에 강한 냄새활성을 나타내는 여러 물질들이 탐지되어, 촉각과 작은턱수염 모두 기주식물의 감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촉각과 작은턱수염에 냄새활성을 나타내는 물질들의 종류는 서로 확연한 차이를 보여서 촉각과 작은턱수염이 기주식물의 냄새물질 탐지에 서로 다른 역할을 할 것이라는 사실을 나타내었다. 우리는 이들 냄새활성물질의 화학구조 동정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들의 구조가 밝혀지면 이들 물질의 호박꽃과실파리 에 대한 행동활성을 조사할 예정이다.
        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호박꽃과실파리, Bactrocera scutellata (Hendel) (Diptera: Tephritidae),는 호박 등 박과식물의 해충으로 야외 트랩실험을 통해 호박꽃과실파리 수컷이 cue lure와 raspberry ketone에 유인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해 호박꽃과실파리의 촉각(antennae)과 작은턱수염(maxillary palps)에 각각 다른 형태의 냄새감각기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Bactrocera 속 과실파리들의 parapheromone 성분들인 cue lure, raspberry ketone, methyl eugenol, 및 zingerone 등의 물질들이 촉각과 작은턱수염 중 어떤 감각기관에 의해 감지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 물질들과 식물 냄새성분인 3-octanone에 대한 호박꽃과실파리의 eleltroantennogram (EAG) 및 electropalpogram (EPG) 반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cue lure 및 raspberry ketone은 작은턱수염에서 큰 EPG 반응을 보였으나 촉각에서는 EAG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호박꽃과실파리의 기주식물인 호박에서 방출되는 냄새 성분 중 하나인 3-octanone은 촉각에서 큰 EAG 반응을 나타내었으나 작은턱수염에서는 아주 작은 EPG 반응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호박꽃과 실파리 수컷에 강한 유인력을 나타내는 cue lure와 raspberry ketone이 촉각이 아니라 작은턱수염에 존재하는 냄새감각세포들에 의해 감지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호박과실파리 등 아직 강력한 유인제가 알려져 있지 않은 다른 과실파리류의 유인제 개발에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