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quaporin channels (AQPs) are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ovarian follicles through their function in water transport pathways. Compared to other AQPs, research on the role of AQP4 in female reproductive physiology, particularly in cattle, remains limited. In our previous study, gene chip microarray data showed a downregulation of AQP4 in bovine cystic follicl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validate the AQP4 expression level at the protein level in bovine follicles using immunohistochemistry, Western blotting, and immunoprecipitation assays. Immunostaining data showed that AQP4 was expressed in granulosa and theca cells of bovine ovarian follicles. The ovarian follicl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size as small (< 10 mm) or large (> 25 mm) in diameter. Consistent with earlier microarray data, semi-quantitative PCR data showed a decrease in AQP4 mRNA expression in large follicles.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a downregulation of the AQP4 protein in large follicles. In addition, AQP4 was immunoprecipitated and blotted with anti-AQP4 antibody in small and large follicles. Accordingly, AQP4 exhibited a low expression in large follicles. These results show that AQP4 is downregulated in bovine ovarian large follicles, suggesting that the downregulation of AQP4 expression may interfere with follicular water transport, leading to bovine follicular cysts.
        4,000원
        3.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quaporins(AQPs)유전자는 다양한 조직의 상피세포와 내피세포에 존재하며 다량의 물 이동을 조절하는 막성 단백질로서, 세포간 또는 세포막 사이의 물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정기의 생쥐 자궁에서는 자궁내막세포의 증식과 함께 수화되는 특징을 보이며, 자궁내강으로 물이 이동되어 자궁내액의 점성이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쥐의 발정주기 동안 자궁에서의 형태학적인 변화와 관련하여 AQP유전자가 물 이
        4.
        2003.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quaporins (AQPs)는 다양한 상피세포와 내피세포에 존재하며 다량의 물 수송을 촉진하는 막성단백질로 현재 11개의 AQP가 (AQP0-10) 발견되었으나, 아직 생리적, 기능적 분석은 불충분한 상태이다. 생쥐의 자궁내막은 발정주기 동안 호르몬의 자극에 따라 부풀어오르거나 수축하는 변화를 보이며 에스트로젠과 몇몇 혈관에 작용하는 매개체에 의해 자궁 혈관의 투수성이 증가한다는 보고는 있으나, 자궁액의 수송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뚜렷하게 밝혀진 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