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4대강 보 설치에 따른 실지렁이류의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현지조사는 2018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10회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총 18종 35,390 ind. m-2 개체가 출현하였다. Limnodrilus hoffmeisteri (77.1%)이 우점종, Branchiura sowerbyi (9.5%)이 아우점종으로 분석되었다. 건중량 분석결과 총 32.418 g m-2이 계측 되었으며, 각 종별 건중량과 TOC 농도와의 상관 분석 결과 실지렁이, 아가미지렁이와 TOC 농도 간 음의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지렁이류와 물리적·이화학적 요인들 간의 다변량 상관분석 결과 퇴적토 깊이, Clay 비율, Silt 비율, Cobble 비율, Pebble 비율, pH, TOC 항목과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p<0.05, p<0.01). 조사지역별 실지렁이류 개체수와 퇴적토 깊이 및 Clay의 비율과 비교·분석한 결과 퇴적토의 깊이와 Clay의 비율이 높을수록 개체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시기에 따른 실지렁이류의 개체수, TOC 비교·분석결과 3월부터 10월까지 개체수는 감소하는 경향성을 나타냈으며, TOC는 증가하는 경향성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quatic oligochaetes were investigated from a small amount of sediment sampled from the Jung-nang Stream, an urban stream in Seoul, Korea, in November 2012. Sorted oligochaetes were observed under alight microscope in a drop of carbonated water, and then preserved in 70% ethanol. Some specimens were slidemounted using glycerin and Eupharal. As a result, the following 12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8 newKorean records, Bothrioneurum vejdoskyanumStolc, Branchiodrilus hortensis(Stephenson), ChaetogastercristalinusVejdosky, Nais communisPiguet, Nais pardalisPiguet, Dero obtusad’Udekem, PiguetielladenticulataLiang, and Haemonais waldvogeli Brescher and 4 additional known species, Limnodrilus hoffmeisteriCleparéde, Branchiura sowerbyi Beddard, Chaetogaster diastrophus(Gruithuisen), and Stylaria fossularisLeidy.This study shows how freshwater oligochaetes are diverse even in urban streams in Korea, if a propersamplingand examining method is employ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