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정적 스쿼트 동작 시 발란스 보드와 전신 진동자극기 적용이 신체 근육의 근활성도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대 남성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연령, 21.90±0.36 세; 신장, 174.30±1.09 cm; 체중, 66.50±1.00 kg; 신체질량지수, 21.90±0.31 kg/m2), 3가지의 기본 정적 스쿼트 동작, 발란스 보드를 적용한 정적 스쿼트 동작 및 전신 진동자극기를 적용한 정적 스쿼트 동작을 수행하였으며, 표면전극을 부착한 부위는 신체 근육의 우측 복직근, 내복사근, 외복사근, 대퇴직근, 외측광근 및 내측광근으로 설정하였다. 실험을 통해 획득된 본 연구의 결과 는 다음과 같다. 복직근, 내복사근 및 외복사근의 근활성도는 발란스 보드와 전신 진동자극기를 적용한 정적 스쿼트 동작 시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1, p=.004, p=.000), 대퇴직근, 외측광근 및 내측광근의 근활성도는 전신 진동자극기를 적용한 정적 스쿼트 동작에서 통계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정적 스쿼트 훈련 적용 시 효과적인 신체 근육을 강화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body alignment during standing on level and wedge board. Twenty healthy college students (8 females, 12 males)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Diagnostic contourline potographic imaging system (Model JTC-1, Jodang Trading Co.) was used to measure body alignment. Sagittal and frontal plane images were used to analyze the body alignment. The result showed that the cervical and lumbar lordotic curve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standing on wedge board when compared with standing on level. On the other hand, thoracic kyphosi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standing on wedge boa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alignment according to gender, weight, and height. Clinically, patients with low back pain and severe lordosis may be affected by heel wedge. Further study is needed to identify whether the standing on wedge board can change the body alignment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and spinal deform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