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3.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 랜덤(r-) 및 블록(b-) 구조를 가지는 가교 공중합 폴리이미드를 N,N-bis(2-hyoxyethyl)-2-aminoethanesulfonic acid와 pentanediol을 가교제로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가교되지 않은 r- 과 b- 술폰화 공중합 폴리이미드도 제조하였다. 술폰산기의 조성에 강한 의존성을 보이는 이온교환능 값은 r- 과 b- 술폰화 공중합 폴리이미드에서 서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카르복실산 기의 dimerization을 통한 물리적 가교현상은, 가교되지 않은 b- 술폰화 공중합 폴리이미드 고분자의 평균 사슬 거리를 감소시켰으며, 결과적으로 함수율과 메탄올 투과도를 r- 술폰화 공중합 폴리이미드보다 감소시켰다. 동시에, 고분자의 평균 사슬 거리의 감소는 단위 부피당 fixed-charged 이온의 함량을 증가시켰고, 이렇게 높아진 liked-charged 이온 밀도는 b- 술폰화 공중합 폴리이미드의 수소이온 전도도의 향상에 기여하였다. 가교제 및 고분자 구조에 상관없이, 가교구조의 도입은 고분자 사슬간의 평균 거리를 감소시켰고, 메탄올 투과도를 낮추었다. 반면에, 수소이온 전도도는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수소이온의 전달을 담당하는 친수성 채널이 효과적으로 형성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술폰산기를 가진 가교제로 가교된, r- 술폰화 공중합 플리이미드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4,200원
        4.
        199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cell block phenomenon occuring during early development in vitro of mouse embryos. Early embryos were recovered at 3h post-hGG injection(hph). Various chemicals (EDTA, EGTA, DTPA, MA and PRA) were tes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m on the overcoming the 2-cell block phenomenon. One hundreds M of the chelating agents were added to the M16 medium containing embryos. The treated embryos were worked and transferd to fresh M16 medium after 1, 3, 6 and 12h of treatment. Development was examined at 58 and l2Oph injection, respectively. 44.7~68.9% of the treated embryos developed to 4-cell stages at 58hph. Only 17.6~60.3% of the embyos developed upto blastocyst at l20hph. Whereas control embryos showed slightly lower development in M16 medium alone (38.9~42.4%, 4-cell and 3.8~65.5%, blastocyst). Three mitogenic agents were tested. 51.6~63.8% and 43.4~48.1% of embryos developed up to 2-cell and blastocyst stage, respectively when treated in 5 g PHA-M Imi for 5 min, 1, 3 and 6h subsequently cultured in fresh M16 medium. Control embryos only showed 38.8% for 4cell and 5.9% fo blastocyst at 58 and l2Ohph, respectively. 100M PMA was also beneficial for the 2-cell block. Showing better development them that of control (42.4 vs 57.9~59.4% 4cell and 5.9 vs 25.0~55.6% blastocyst, respectively. However 1M butyric acid was toxic to early embryos, thus arresting further development. These result indicate that either chelating or mitogenic agents could be used to overcome the "in vitro 2-cell block" occuring during early development in vitro of ICR embryosCR embryo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