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3.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provide a theoretical outline of why critical media literacy (CML) should be included in Korean English education teaching practices and teacher training curricula. CML is a pedagogy designed to sensitize students to ideological meanings embedded in media that socialize people into specific values, beliefs, and behaviors. This paper begins with a review of theoretical foundations of CML including the symbolic nature of human consciousness signification and the processes of socialization, which are theoretically encapsulated within the dialectic among post-structural theories of discourse and representation. A review of literature on CML and its application to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is then presented. Applications of CML include situated inquiry, discussion, creation of group multimodal projects suggests, how it fosters the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skills, the acquisition and use of new vocabulary idioms, and transforming student perceptions of themselves and their society.
        6,600원
        2.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새로운 소통의 도구로서 미디어의 중요성에 주목하며 비판적 미디어 리터러시(Critical media literacy: CML)와 소수자에 대한 국내외 연구 분석을 통해 CML교육을 디지털미디어 시대에 적합한 다문화교육의 한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CML은 무엇이며 학교문해 교육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 둘째, 한국 다문화교육에서 미디어의 역할과 의미는 무엇인가? 셋째, 한국 다문화교육에서 비판적 CML교육이 가진 잠재력은 어떠한가? 본 논문에서는 먼저 미디어의 분석, 생산, 기술에 각각 중점을 둔 다양한 유형의 미디어 교육 접근법을 소개하고, 학교 안과 밖을 연결하는 미디어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CML의 특성과 교수방법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한국사회에서 미디어를 통한 소수자 재현방식의 문제점, 미디어 교육의 비활성화, 미디어 관련 연구의 성과와 방향성의 문제 등을 짚어 보았다. 끝으로, 창조와 변혁의 주체로서 소수자를 재정의하고 CML의 경계 해체적 특징에 주목하며, CML 기반 다문화 교육은 기존 주류 미디어에 재현된 소수자에 대한 담론을 해체할 뿐 아니라 선주민과 이주민 모두의 다문화적 역량을 강화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향후 CML기반 다문화 교육을 위한 제언과 다양한 후속 연구의 가능성을 제안하며 논문을 끝맺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