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n ambrosia beetle, Platypus koryoensis, is known as a major vector of Korean oak wilt disease (KOW) to Mongolian oak and it is considered as the one of the major threat to forest ecosystem healt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damage on Mongolian oak inflicted by the ambrosia beetle on the basis of entry hole density and location within the trunk. Two hundred forty Momgolian oak trees from Mt. Uam (Gyonggi-Do, Korea) and 60 from Mt. Gyebang (Gangwon-Do, Korea) were randomly selected. Initially, the damage degree on an individual tree and the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were measured, and followed by the measurement of entry hole density per 148 X 210 mm2 on lower trunk (above the surface of the earth) and upper (100 cm above the surface) on each upslope and downslope. The damage degrees were divided into three classes: Ⅰ indicating healthy tree, Ⅱ tree damaged by the ambrosia beetles and Ⅲ dead tree by the KOW. As the damage class of the Mongolian oaks increased, the number of the entry holes increased regardless of locations of entry holes. The density of entry hole lower trunk was higher than that in upper trunk, showing that the ambrosia beetle preferred to attack the lower trunk on downslope.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a tendency that the average DBH of the oak trees increased as the damage class increased from Ⅰ to Ⅲ. This suggests that the ambrosia beetle prefers to attack older trees. The entry hole densities on each lower and upper trunk on downslope were principal components to assess the damage degrees of the Mongolian oak.
        2.
        201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손상된 구조물의 동적응답신호를 역해석함으로써 손상위치와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손상 전 후 고유진동수의 변화로부터 강성의 감소량을 구하고, 모드형상의 변화로부터 손상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토목구조물의 경우 동적 응답신호로부터 손상을 검출코자 하는 연구가 상당히 진행되었으며 실용화 되었다. 그러나 건축구조물의 경우 몇 가지 문제로 인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드형상을 이용한 전단형 건물의 손상위치 추적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전단형 건물의 손상 전 후 1차 모드강성의 차이를 이용한 손상위치 추적지수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이를 Matlab 또는 MIDAS GENw와 같은 수치해석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손상위치추적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소형 진동대 실험을 수행하고 실측된 동적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손상위치를 추적함으로써 실구조물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진동대 실험결과 층강성이 25% 감소할 때 1차 모드 진동수는 12%증가 하였으며, 손상위치 지수는 손상 층에서 마이너스 값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