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upplementary lighting intensity and duration on selected Cassulaceae species grown in a hydroponic system. Five subfamilies in Crassulaceae with corresponding species were chosen as experimental units namely Sedeveria ‘Letizia ’, Sedum ‘Sun Red’, Crassula rupestris, Echeveria ‘Momotaro’, and Graptoveria opalina. Light duration (3 and 6 hours) and intensity (4,000 lux or 60 μmol • m−2 • s−1 and 8,000 lux or 120 μmol • m−2 • s−1), and their combinations served as factors which were replicated twice. Results revealed that the use of supplementary lighting using LED fixtures had influenced selected species under Crassulaceae. The use of three hours supplementary lighting under low light intensity had statistically similar results with those of the control S. letizia, C. rupestris and G. opalina in particular parameters. Meanwhile, succulents under six-hour with high intensity condition grew well, compared to species S. letizia, C. rupestris and E. ‘Momotaro,’ demonstrating that the data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terestingly,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pecies C. rupestris and the control regardless of change of variables (duration and intensity) in all parameters.
        4,000원
        2.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비동질성 Markov 모형을 이용한 시간강수량의 모의발생을 수행하였다. 즉, 대상유역을 선정하고 시간강수량을 모의하여, 모의된 시간강수량을 이용한 확률강수량 및 확률홍수량을 산정하여 관측자료와 비교함으로써 비동질성 Markov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모의발생된 강수자료와 관측강수자료의 통계적 특성은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모의년수가 증가할수록 극치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모의자료를 이용해 산정한 확률홍수량
        3.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강우강도식의 매개변수를 추정하기 위해서 다목적 유전자알고리즘의 목적함수로 RMSE와 RRMSE를 적용하여 보다 객관적인 기준으로 장 단기간을 구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매개변수를 추정하기 위한 장 단기간을 구분하는 방법으로는 정확도를 기준으로한 방법과 그래프상의 접점을 이용하는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기상청에서 관리하는 22개 지점에 대하여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강우강도식을 이용하여 그 적용성을 살펴보았다. 매개변수를 추정하는 방법
        4.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모형의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형펄스모형을 이용하여 I-D-F 곡선을 유도할 수 있는 이론적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강우모형의 구조를 고려하여 유도되는 I-D-F 곡선은 관측 강우의 1차원 및 2타원 통계 특성을 이용하여 추정된 매개변수에 의해 그 형태가 결정되므로 년최대치계열을 이용하여 추정하는 1-D-F 곡선에 비해 비정상적인 강우사상에 상대적으로 덜 민감하게 된다. 본 연구는 서울 및 인천지점에 적용되었으며 이때. 유도 된 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