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연구의 목적은 총질소(TN), 총인(TP), 엽록소(Chl), 투명도(SD)의 변수를 이용하여 호수의 영양상태(Trophic state)를 평가하였고, 전기전도도에 따르면 부유물질(SS)의 역동성을 비교 평가하여 총질소-엽록소(TN-Chl), 총인-엽록소(TP-Chl), 엽록소-투명도(Chl-SD)의 경험적 모델을 분석하였다. 호소의 영양상태 분석에 따르면, 36개 인공호 중 절반이상이 부영양-과영양화 상태 (Eutrophy-Hypertrop
아스팔트의 점탄성적 물성을 기준으로 하는 아스팔트의 등급을 분류하는 수퍼페이브 공용성 등급은 현재 나와있는 아스팔트 등급 중에서 그 이론적 배경이나 포장 공용성과의 관계에 있어서 비교적 우수한 등급으로 평가받고 있으나, 이러한 공용성 등급의 국내 적용을 위해서는 고가 시험장비의 도입, 실험 기술인력의 확보 등 국내 현실로서 넘기 어려운 여러 장벽들이 산재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국내 현실을 이유로, 수퍼페이브 공용성 등급의 개념을 국내에 도입하되, 그 기준을 좀더 측정하기 쉬운 경험적 물성을 기준으로 하여 국내의 아스팔트 등급기준이 설정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본 논문은 아스팔트의 경험적 물성을 기준으로한 아스팔트의 공용성 등급의 설정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한 연구로서, 국내에서 생산되는 9종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2종의 개질재가 첨가된 총 18종의 개질 아스팔트를 대상으로 시험된 경험적 물성과 수퍼페이브 공용성 등급 분류에 사용된 물성이 비교되었다. 연구결과, 침입도 등의 경험적 물성을 이용하여 국내현실에 맞는 아스팔트의 공용성 등급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아스팔트 등급의 구성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스팔트의 점탄성적 물성을 기준으로 하는 아스팔트의 등급을 분류하는 수퍼페이브 공용성 등급은 현재 나와있는 아스팔트 등급 중에서 그 이론적 배경이나 포장 공용성과의 관계에 있어서 비교적 우수한 등급으로 평가받고 있으나, 이러한 공용성 등급의 국내 적용을 위해서는 고가 시험장비의 도입, 실험 기술인력의 확보 등 국내 현실로서 넘기 어려운 여러 장벽들이 산재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국내 현실을 이유로, 수퍼페이브 공용성 등급의 개념을 국내에 도입하되, 그 기준을 좀더 측정하기 쉬운 경험적 물성을 기준으로 하여 국내의 아스팔트 등급기준이 설정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본 논문은 아스팔트의 경험적 물성을 기준으로한 아스팔트의 공용성 등급의 설정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한 연구로서, 국내에서 생산되는 9종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2종의 개질재가 첨가된 총 18종의 개질 아스팔트를 대상으로 시험된 경험적 물성과 수퍼페이브 공용성 등급 분류에 사용된 물성이 비교되었다. 연구결과, 침입도 등의 경험적 물성을 이용하여 국내현실에 맞는 아스팔트의 공용성 등급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아스팔트 등급의 구성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Making use of a relation proposed by Wielen (1977), a new empirical relation between Call emission flux and stellar age is derived by analyzing Wilson and Woolley's spectroscopic data (1970) of late type main sequence stars (K0-M5) and kinematic properties of those stars given by Gliese (1969). The proposed relation shows that the emission flux excess of the Call H-K lines, F ′ k + F ′ k introduced by Linsky et al. (1979) decreases with stellar age τ as τ − 0.51 , consistent with the inverse square law as noted by Skumanich (1972).
Although Serkowski used a single value K=1.15 in representing all the observed interstellar linear polarization curves by his empirical relation p ( λ ) / P m a x =exp (-K 1 n 2 ( λ m a x / λ ) ), where p m a x is the maximum polarization at wavelength λ m a x , we have noticed a meaningful variation in K from observations of 72 stars. By comparing K's with P m a x / E B − V a n d w i t h λ m a x , we have examined how the shape of the polarization curve is related with the degree of grain alignment on one hand, and with grain sizes on the other. We have shown that correlations between K, P m a x / E B − V a n d w i t h λ m a x , are consistent with the idea of Davis-Greenstein mechanism for grain alignment.
The paper examines the level of disclosure on Islamic banks’ performance in the United Arab Emirates (UAE).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content analysis of annual reports and financial statements of all fully-fledged Islamic banks working in the UAE over the period 2009 to 2013. Return on Assets is used as a proxy for the performance of Islamic banks while disclosure index is used as a proxy for Islamic banks’ disclosure. Also, predetermined variables are used in the study like Size, Deposits, Non-Performing Investments and Capital to Risk Weighted Assets Ratio. Two-Stage Least-Square regression method is used to check the interdependence relationships between disclosure and performance of Islamic banks in the UAE. The results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nd disclosure in the UAE Islamic banks. Our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Islamic banks with higher levels of disclosure lead to higher operating performance. Furthermore, the performance has a great impact on the level of disclosure which means Islamic banks with high performance measures will disclose more information for investors and other institutions in order to reduce the cost of equity and increase their values in the market. This study is considered as a battery for further stud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losure and financial performance of Islamic banks at a global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