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가족계획 전개 과정을 비교사회정책적 관점 에서 고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일 양국의 관련 정책과 역사적 문헌을 대상으로 실증적 분석적 틀을 구축하고 특히 비교과정에 서 가족계획의 유사한 문제에 대한 한일 양국의 정책 대응에 공통성과 차이성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가족계획 과정에서 유사하게 출현한 인공임신중절의 증가 문제에 대한 양국의 모자보건법과 우생보호 법을 고찰하고 제도화의 과정에서 어떻게 같고 다른가, 도입되었거나 그 렇지않은, 즉 결정과 비결정의 정책 과정을 비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과 일본은 제도화과정에서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요소들에 대하여 차이를 가지며 그 과정에는 역사적 경로와 정치 사회문화적 배경 들이 자리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족계획의 과정을 통하 여 오늘날 출산 문제의 접근을 위해 제고되어야 하는 가족의 의미에 대 하여 제안하였다.
Considerable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issue of succession in family businesses. However the process of induction, of preparing the members of the next generation for joining the family business has not been examined in detail. This paper attempts to analyse the relevance of three critical factors – ‘quality of relations’, ‘willingness of the inductee’ and ‘the ability to manage tensions harmoniously’ - to the induction process and the progress of the business. It focuses on the Indian context, specifically in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 (SME) area. Qualitative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he Case Study method is used and data has been gathered from two families (including two branches of one family), using frequent unstructured interviews, over a period of five years. It is concluded that positive impact on business, family and the inductee depends to a large extent on the quality of relations, willingness of the inductee and the ability of both the inductor and inductee to handle and manage the tensions. Thus the findings of the study extend current understanding about succession drivers to the specific context of eastern cultural and developing economy represented by the Indian family businesses in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 s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