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과 대조구 간 열 환경 요소의 차이와 정원 구성 요소 간 열 환경과 열 스트레스 지수의 차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원과 대조구 간 열 환경 요소의 시계열 변화에서 대기 온도의 차이는 0.8°C에서 2.4°C까지 나타났고, 흑구 온도는 4.4°C까 지 나타났으며, WBGT는 1.6°C 차이가 나타났다. 대조구에 비 해 정원의 열 환경이 모든 온도에서 낮게 나타난 것이다. 특히, 대조구와 정원의 온도 증가 폭을 비교해 보면, 정원에서 모두 온도의 완만한 증가 폭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원이 급격한 온도 차이는 만들어낼 수 없으나, 소규모 녹지를 활용한 지속적인 온도 조절에 효과를 보일 수 있겠다. 이용객이 느끼는 열 스트레 스 지수도 정원에서 낮게 나타나 정원이 열 쾌적감 증진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정원 구성 요소에 따른 열 환경 변화를 비교하였을 때, 목재 소재의 시설물이 표면 온도가 높았고, 녹지 에 의해서 생긴 그늘이 온도 차이를 줄일 수 있는 요소가 되었다. 실외 미기후를 대상으로, 정원 입지 환경 중에 하나인 건물에 의한 그늘과 녹지 그늘이 열 스트레스 지수인 UTCI에서 동일하 게 ‘moderate’ 수준을 나타냈다. 즉, 건물 그늘의 일사 차단 효과로 인해 열 쾌적감이 증진되는데, 건물이 없는 소규모 녹지 에서도 교목과 초지 식재로 열 쾌적감 증진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원 구성 요소에 미기후 조절 효과에 관련이 있는 요소를 선정하였을 때, 건물→수목→주변 포장재→정원 포 장재→시설물의 순서로 정원 입지 선정과 구성 요소 선택에 활 용할 수 있는 가이드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o functionally classify the types of gardens that can be used in a city,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ived functions of gardens in Korea by reviewing the previous case studies, field surveys concerning gardens in cities, and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First, the roles and effects of gardens identified in the earlier studies were clustered into similar concepts. To ensure validity, the types of functions of the gardens were named based on opinions gathered through meetings with experts.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on 31 cases studied over four years. The data obtained were applied to supplement the redefined classification criteria and items for gardens in the city as described above. The current status of the gardens was analyzed by type. The gardens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socio-cultural, environmental, economic, and health-related. The sociocultural type was dominant among the community garden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intended function of building an urban garden and to prepare guidelines for introducing socio-cultural, environmental, economic, and health-type gardens in the future.
Allotment gardens with log house in rural area as a rural growth tool are able to adapt to current market mechanisms by communication and promotion techniques. It is important to know what and how allotment garden's users seek their benefits to market segmentation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gment and profile the benefits of allotment garden's potential users so as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allotment garden in Korea.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obtained from 298 allotment gardens users in the study area. Four distinct segment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benefits; relaxer(23.7%), educator(21.9%), want-it-all gardener(42.3%), and grower(12.2%), and these were profiled with respect to socio-demographics and civic garden-related features. We suggest that the relaxers are target market of allotment gardens with log house because they have willingly intented to pay a higher 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