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1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문학과 繪畫의 관계는 文學論과 畫論에서 상당 정도 이론화되었다. 또 그림은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교육학적 연구 결과도 제출되어 있다. 따 라서 회화를 한문과 평가에서도 주요한 형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한 문의 ‘이해’ 영역에 대한 평가에서 그림을 활용하는 방법과 문항의 실제를 시험적 으로 제시하였다. 평가에 사용되는 繪畫는 기왕에 존재하는 것을 수집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단, 중답이나 오답의 시비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그림의 내용과 내력에 대한 철저한 검증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 또 회화는 감상의 대상이 될 정도의 수준에 도달하는 것이 좋다. 기왕에 존재하는 그림의 확보가 여의치 않을 때는 자체 제작하여 사용 할 수도 있다. 회화를 활용한 문항의 제작은 문두·답지·그림의 구성에서 부정합현 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 설계부터 검토까지 치밀한 과정을 마련한다. 회화는 고사성어·단문·산문·한시의 이해 영역 평가에서 모두 연계 활용할 수 있다. 그 구체적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회화를 제시하고 그것과 관계있는 고사성어·단문·산문·한시를 찾게 한다. 2. 단문·산문·한시를 제시하고 그것을 묘사한 회화를 찾게 한다. 3. 단문·산문·한시 및 그 내용을 표현한 회화를 동시에 제시하되, 회화의 일부를 삭제한 뒤 글의 내용에 맞게 그림을 완성하게 한다. 4. 단문·산문·한시 및 그 내용을 표현한 회화를 동시에 제시하되, 회화를 일러스 트의 기법으로 가공한 뒤 그림에 등장하는 인물의 입을 통해 글이나 시의 내용을 말하게 하는 형식을 만든다.
        7,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