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urrent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use of classwide peer tutoring for controlled grammar practice activities in a university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classrooms. In total, this study included 128 Korean university student participants. This research employed a quasi-experimental approach with two distinct groups. Across four different grammar lessons, 67 learner participants experienced classwide peer tutoring, while 59 learner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traditional approach to controlled grammar practice activities. In doing so, the effectiveness of the two teaching approaches, as well as student perceptions,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no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between classwide peer tutoring or the traditional approach in the short-term or long-term. Furthermore, the results show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ower proficiency students and higher proficiency students. However, the results did indicate students found classwide peer tutoring to be more satisfying, interesting, and comfortable than the traditional approach to controlled grammar practice activities. Implications and classroom suggestions from these findings are included.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의 경험 이야기나누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만 3세반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특징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함으로써 만 3세반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특징에 대한 구체적이고 의미 있는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에 참여한 유아는 강원도 D시에 소재한 공립단설유치원의 만 3세반 유아 18명 중 종일제 유아 6명이었으며, 본 연구는 2011년 9월 1일부터 12월 10일까지 15주 동안 총 28회 진행되었다. 유치원의 경험에 대한 이야기나누기 시간은 종일제 귀가시간 전(16:00~16:15)에 외부 소음이 적은 조용한 공간인 낮잠을 자는 방에서 진행하였으며, 이야기나누기 시간의 전 과정은 비디오카메라와 MP3로 녹화·녹음되었다. 자료 수집은 동영상 녹화 및 녹음, 연구자의 저널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자료의 조직화, 영역분석, 자료 분류 및 분류분석, 분석결과의 해석 단계를 거쳤다. 유치원의 경험 이야기나누기 활동에서 나타난 만 3세반 유아들의 일상적 내러티브 특징은 내러티브를 향한 첫걸음, 친구와의 내러티브, 교사와의 내러티브, 변화하는 내러티브로 범주화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