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ructural analyses were performed for a movable seat mechanism applied in a new type shower commode wheel chair. The wheel chair has slide rails below the wheel chair seat to help patient move to bed side. The slide rails and seat were modeled for the structural simul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validate simulation results by using strain gage Rosettes. Student t-test was performed to the experimental data, which showed that the stresses obtained from the simul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btained from the experiments. The slide rail structure was found to give a safety factor of 2.4 under 80Kg user weight with ten rollers used for seat support. The safety factor much increased by placing more rollers under the wheel chair seat. Our simulation revealed that rollers installed only in the central and corner regions were used as supports due to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seat.
        4,000원
        2.
        201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댐 붕괴 직후에 댐 붕괴 근역에서의 댐 붕괴파 및 댐붕괴파로 인한 하상변동을 추적하기 위하여 RANS를 지배방정식으로 하는 FLOW-3D를 이용한 3차원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특히 이동상에서의 하상변동과 그 하상변동으로 인한 홍수파의 변동을 고정상에서의 해석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해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자형 실험수로에서의 홍수파 해석 및 이동상 실험수로에서의 홍수파와 하상변동 해석 결과는 해당 수리실험을 만족스럽게 재현하고 있다. 둘째, 부유사의 농도는 홍수파의 전면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이며, 하상침식은 흐름이 급변하는 댐 직하류 지점에서 가장 크게 발생한다. 수로의 상류에서 발생하는 부유사로 인해 하류에서는 침식과 퇴적이 번갈아서 발생한다. 홍수파가 도달하는 초기에는 L자형 만곡부의 내측에서 침식이 우세하게 발생하나, 시간이 지나며 침식은 점차 만곡부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인다. 셋째, L자형 이동상에서의 홍수파는 하상의 침식 및 퇴적으로 인해 고정상에서의 홍수파에 비해 그 전파가 지체되며 홍수위가 크게 상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