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에서 “你什么时候来了?”와 같은 ‘의문사+VP+了’ 형식의 표현은 ‘是……的’ 구문의 오류 유형 가운데 하나로 다루어지는데, 사용 맥락과 화자의 의도에 따라서 자연스러운 표현이 되기도 한다. 의문사와 ‘了’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문장은 ‘是…… 的’ 구문과 비교해 볼 때, 초점 범위와 담화 전제에 차이를 보이며 본질적으로 상이 한 화용적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了’는 의문사 구문의 초점 구조를 재 편성하며, 주로 ‘의외성’과 ‘반문’의 의미를 함축한 간접화행으로 실현된다. 화용적 측 면의 역할에 맞춰 ‘是……的’ 구문과 ‘의문사+VP+了’ 구문을 이해하자면, 전자는 정 보의 전달에 초점이 있고, 후자는 감정과 태도의 전달에 초점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각각 담화적 필요에 의한 사용이라는 점을 강조한 이러한 분석은 학습자에게 서 자주 보이는 ‘了’의 대치로 인한 오류를 줄이고 차별적 활용 원리를 제시할 수 있 으며, 문법 현상을 파악하는 데에 화용적 맥락의 인식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을 시사 한다.
본고는 대화의 의도성을 연구 문제로 하여, 법정 대화, 易中天, 赵薇의 인터뷰 대 화를 화용론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대화의 의도성 정도 파악은 언어 배후의 의미가 대화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본고는 대화 전체 화제와 단 락 화제를 통해 의도성 정도의 일차적 판단 후, 인접쌍과 화행의 분석하여 이를 의 도성과 구체적으로 연결하였다. 분석 결과 의도성이 명확한 정도는 법정 대화 > 易 中天 > 赵薇의 인터뷰 대화 순으로 나타났다. 단계별 분석을 통하여 객관적인 분석, 도식화를 통한 인터뷰 과정을 직관적으로 관찰을 시도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Lee, Jung-yull. 2017. “Pragmatic Functions of Amplifiers as Response Devices in Spoken American English: A Corpus-Based Analysi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5(2), 103~130. The verbal behaviors of amplifiers such as very much, really, pretty, particularly, very, absolutely, totally, quite are frequently represented in descriptions of interactions between speaker and hearer. The input of the main speakers was principally explicated with regard to semantic features, including collocational restrictions, by many linguists in the past. However, this study focuses on the output of hearers in different types of talk, especially elaborating on a wide variety of pragmatic roles of the amplifiers in spoken American English. For example, the amplifiers in hearers' speech play diverse pragmatic functions as bridging devices, by indicating surprise, repair, agreement, reinforcement, enthusiasm, encouragement, satisfaction, and rapport between interlocutors. Throughout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at although these amplifiers do not ostensibly seem to have big meanings, they play significant roles in spoken discourse.
With relevance theory and coherence theory as the theoretical basis, this paper studies the pragmatic function of Chinese-Utterance final particles: a, ba and ne and claims that the discourse function of ne is stronger than a and ba. In other words, the modality meaning of a and ba is stronger than ne. This paper also studies the reason why a, ba and ne have different pragmatic functions and concludes that the meaning of ne is mainly the meaning of mood, ne has a longer history and the grammaticalization of ne is more complete while a and ba have obvious modality meaning; they have a shorter history than ne as mood particles and their grammaticalization still contin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