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2.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disadvantage of the current Red imported fire ants (RIFA) diagnostic is that it takes at least two days, because it is subjected to PCR amplification and DNA sequence identification process using an arthropod universal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I prime pair after genomic DNA extraction. In order to overcome this drawback, two RIFA specific genes were confirmed and used to develop techniques for identifying the species using various PCR methods. The conventional PCR method can be confirmed by the presence of amplified DNA, but additional time is required to confirm whether the PCR products are present or not. In contrast, SYBR green Real Time (RT) PCR or TaqMan probe RT PCR method has the advantage of confirming the results immediately after the reaction is completed. The new molecular diagnostic method has the advantage of shortening the time of two days, which is the biggest disadvantage of RIFA molecular diagnostic method, to 3 hours or less.
        3.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red imported fire ant (RIFA, Solenopsis invicta Buren) is defined as invasive species and one of 100 most threaten alien species in world by IUCN. In Korea, RIFA has been first detected at September 28th, 2017 in Busan Port during surveillance by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APQA). The RIFA colony was revealed as a polygyne and H5 type through epidemiological analysis on Gp-9 gene and mt-DNA haplotype. APQA has developed eradication program for RIFA with enhanced surveillance in all nationwide Ports and Internal Container Depots. There are subsequently 7 times more invasions of RIFA in Ports (Busan, Pyongeaek, and Incheon) including 2 times of inlands (Daegu and Ansan) and completely eradicated so far. International trade and climate change increases possibility of establishment and spreading of RIFA in Korea. Therefore, it must be required an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prevention of global spreading of RIFA between countries.
        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붉은불개미는 세계 100대 침입외래 해충 중의 하나로 우리나라에서는 관리 해충으로 1996년도에 지정되었다. 2017년 9월28일 부산항 감만 부두에서 국내 최초로 발견된 후, 2018년에 부산항, 평택항 과 인천항에서 발견이 되었고, 9월18일에 대구의 아파트 공사장에서 내륙에서는 처음으로 발견이 되었다. 대구에서 발견된 붉은불개미도 아파트 건설을 위하여 중국에서 수입한 석재에 혼합되어 수입된 토양과 식물체와 같이 혼입된 것으로 추측이 된다. 그러므로, 현재까지 국내에서 붉은불개미가 번식을 하여 토착화되었다는 증거는 없다. 현재까지 붉은불개미에 대한 종 판명은 전문가에 의한 형태적인 분류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붉은불개미에 대한 확증을 위해서는 채집된 개체를 검역기관으로 이송하여 분자진단을 실시해야 하므로, 최소 이틀의 시간이 필요하다. 현재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 붉은불개미 진단 키트가 해외에서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지만, 낮은 민감도로 최소 3~5개의 충체가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진단키트가 가지는 문제점은 이를 대신할 새로운 키트의 개발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신속한 붉은불개미의 검역현장에서 진단을 가능하게하기 위한 노력 중의 하나로 우리는 붉은불개미의 복부에서 발현되는 유전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그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 진행과 결과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연구는 농림축산 검역본부의 연구비 지원으로 이루어졌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