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GNSS 기반 위치추적기를 부착한 큰고니(Cygnus cygnus) 12개체를 대상으로 2024년 12월부터 2025년 3월까지 낙동강 하구에서의 월동 행동권 및 북상 전 내륙 이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총 21,721개의 유효 좌표 데이터를 활용하여 Minimum Convex Polygon(MCP) 및 Kernel Density Estimation(KDE) 분석을 수행하였고, 월별 공간 이용 및 핵심 서식지 변화 양상을 파악하였다. 전체 평균 행동권 면적은 MCP 기준 113.38±251.36 ㎢, KDE 95% 기준 39.55±71.30 ㎢, KDE 50% 기준 7.21±12.19 ㎢로 나타났으며, 낙동강 하구 내 자료만 적용시 평균 면적은 각각 25.99 ㎢ (MCP), 12.72 ㎢ (KDE 95%), 2.81 ㎢ (KDE 50%)로 감소하였다. 대부분 개체는 을숙도, 맥도생태공원, 삼락생태공 원 및 백합등 등 특정 지역을 집중 이용하며 높은 서식지 충성도를 보였고, 일부 개체는 3월 중 주남저수지(창원), 해평천(구미) 등으로 단기 내륙 이동으로 북상 전 에너지 확보 또는 탐색 활동을 수행하였다. 특히, 2~3월에는 공간 이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었고 핵심 서식지는 을숙도에서 맥도생태공원으로 이동하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낙동강 하구가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EAAF) 상의 핵심 월동지이자 중간기착지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실증하였 고 서식지 보호, 먹이 제공 정책, HPAI 대응 등 실질적인 보전 전략 수립에 필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4,900원
        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Wintering Waterbird Census of Korea was started in 1999 and monitors 200 major migratory sites in South Korea. Waterfowl counts have been undertaken for more than 20 years since; however, a limited number of studies have analyzed the temporal patterns of waterfowl populat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population size changes of wintering whooper swan (Cygnus cygnus) at 112 monitoring sites from 2001 to 2018. The average number of whooper swans was 4,296±42.66 and there was a trend for an increase in population size across the survey period. We found that the population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one of the major wintering sites over 18 years (26.22% of the national population), had rapidly decreased (- 0.77% per year). Conversely, the whooper swan population in the Junam Reservoir and Sihwa Lake increased (+1.64%, +0.54% per year, respectively). Estuaries showed the highest dominance of whooper swans among the five different habitat types, accounting for 32.13% of the population. Reservoir/lakes had 30.60% of the total population and reclaimed lakes (18.24%), river (13.11%), and coast (5.93%) followed. The annual distribution of the whooper swan population in South Korea has been affected by various habitat conditions resulting from human activities and urbanization. To better understand the complex factors that can cause rapid changes in wintering waterfowl populations,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the data from the bird census program with environmental conditions to conduct in-depth pattern analyses over longer time periods.
        4,000원
        3.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와 엘리엇은 둘 다 작품을 통하여 현실 또는 현 상태에 대한 원망을 토로하고 영원을 갈망하는 모습이 공통적으로 보인다. 이 모습이 예이츠에게는 존재의 통일이라는 개념으로 나타나는 반면에 엘리엇에게는 정점으로 나타난다. 예이츠는 대립과 갈등의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 비잔티움이라는 도시를 성(聖)화 시켰으며, 자연생물인 백조의 이미지를 사용하고 있다. 반면에 엘리엇은 정점을 나타내기 위하여 로고스—만물의 중심점—를 사용하거나 춤의 이미지로 형상화 시키고 있다. 전후 시대상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기 위해 현실의 상태에서 벗어나고자 했다는 점에서는 이 둘 모두가 공통적인 입장을 지양한다고 볼 수 있다.
        5,500원
        4.
        202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gion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wans(Cygnus spp.) in downstream of t he Nakdong River , R.O.Korea from October 2008 to September 2013. During this period, a total of two species and 37,518 ind ividuals of Swans(Cygnus spp.) were observed, including 31,596 Whooper Swans(Cygnus cygnus) and 5,922 Tundra Swans (Cygnus columbianus), respectively. The average number of individuals observed in fifteen different areas was 2255.33 in Daemadeung(A), 143.50 in Jangja·Sinjado(B), 304.00 in Sajado·Doyodeung(C), 1928.00 in Lower Ulsukdo(D), 1392.67 in Ul sukdo(E), 50.17 in Ilwoongdo(F), 91.17 in Yeommak(G), 5.17 in Maekdogang(H), 0.00 in Pyeonggangcheon(I), 0.00 in Lowe r Noksan sluice(J), 2.83 in Upper Noksan sluice(K), 6.17 in Jomangang·Doonchido(L), 4.50 in Chideung(M), 0.83 in Joongs ado(N)and 66.17 in Daejeo sluice(O). The total average of these fifteen areas was 480.8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 e among the survey areas (Kruskal-Wallis test,  =4055.68, P<0.001). In particular, the observed numbers were larger in Daemadeung, Lower Ulsukdo and Ulsukdo than in the other reg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