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sects, constituting a classification group with exceptionally high diversity, account for over half of all known species on Earth and over 80% of the animal kingdom, holding potential for diverse genetic resource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distribution of terrestrial insects in major surveyed areas, focusing on firefly habitats in Muju-gun and key locations such as Ilsadae, Pahoe, Sushimdae, and Naedori Riverside Park in Muju-gun, to acquire fundamental data for the explor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As result of survey, Total 12 order, 104 family, 314 species of insect has been confirmed.
        2.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DNA(enviromental DNA)는 물, 토양, 대기 등 다양한 환경에서 채취한 생명체의 유전자 또는 그 유전자를 채취· 분석하는 기술로 생물을 직접적으로 관찰하지 않아도 생물이 남긴 흔적을 통해 종의 동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야외에서 해충의 예찰조사, 외래종 감시 및 멸종위기종 모니터링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 국제적으로 미생물, 수생태계 및 육상곤충 등 다양한 방면으로 eDNA가 연구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eDNA 연구가 수생태계, 미생물 등 일부 분야에서만 진행 중이며 육상곤충의 eDNA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금번 연구에서 육상곤충에 활용할 수 있는 eDNA 실험방법 확립을 위해 기존문헌 참고 및 곤충분야에 접목하여 활용 가능한 육상곤충 샘플링 방법을 탐색 및 정리하였으며, 추후 eDNA 연구에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4.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상남도 김해시의 화포천습지 생태공원에서 2015년 4월부터 10월까지 월 1회씩 4가지의 방법을 이 용하여 육상 곤충상을 조사한 결과 총 11목 98과 281종 4,163개체가 채집․조사 되었다. 이 중 우점종은 애긴노린재(Nysius plebejus) (노린재목), 아우점종은 맵시잎벌레(Chaetocnema concinna) (딱정벌레목), 그 다음으로 알락귀뚜라미(Loxoblemmus arietulus) (메뚜기목), 그물등개미(Pristomyrmex pungens) (벌목) 순으로 조사되었다. 목별 종 수는 노린재목이 72종(25.5%)으로 가장 우점하였고, 딱정벌레목이 69종(24.6%), 파리목이 31종(13.1%)으로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목별 개체수 또한 노린재목이 1,265개 체(30.3%)로 가장 많았고, 딱정벌레목이 911개체(21.8%), 메뚜기목이 848개체(30.4%)로 그 다음이었다. 군집 분석 결과, 우점도 지수(DI)는 0.15, 다양도 지수(H')는 4.48, 풍부도 지수(RI)는 33.60, 균등도 지수(EI)는 0.80으로 조사되었으며, 한반도 고유종 2종, 국외반출 승인 대상종 18종, 기후변화 생물지 표종 3종, 생태계 교란종 1종이 채집되었다.
        5,800원
        5.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investigated the insect community along altitudinal gradient to gather basic data for distributional monitoring of insect species in the forest ecosystem. The investigation area was Seon-gaksan (Mt.) in Jinan-gun, Jeollabuk-do province, where the bucket-light trap and pit-fall trap for quantification were installed in Quercus vegetation at altitude of 300m, 600m and 900m. The field collecting was performed on May, July and September 2013 respectively. ANOVA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ignificance between insect species along altitude using the collected insect community data. Analysis of variance (ANOVA)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nd-beetles and ants abundance with altitude as a response variable. Although we expected a distinct cluster with the difference of altitude at each study site,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S) showed distinct clusters with the moth, ground-beetles, and ant assemblage at altitudinal increase and sampling month. In the result, a total of 309 species in 18 families of nocturnal moths were collected by bucket-light trap. The insects collected in pit-fall trap were ground-beetles with 196 individuals of 26 species and ants with 11,276 individuals of 14 species respectively.